잠자기 전 30분 - 내일이 바뀌는 새로운 습관
다카시마 데쓰지 지음, 홍성민 옮김 / 티즈맵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휴대폰으로 인터넷 서점에서 책을 검색할 때는 습관처럼 차례를 꼭 읽는다. 읽는 것만으로도 대략의 내용이 그려지기 때문이고 거기서 흥미를 끌면 무조건 보관함에 넣어두었다가 다시 삭제하거나 사기도 한다. 이 책은 오래전에 차례를 읽고 서점에 가서 직접 보고 싶었다. 운 좋게 인터넷 서점에서 싸게 사서쟁인 책 중 한 권이 되었지만.

 
 자기 전 습관에 대해서는 나름 명상과 기도의 시간으로 보낸다. 가끔은 책도 읽고 메모도 한다. 그러나 오전 30분은 항상 눈 뜨자마자 정신없이 돌아가서 아쉬웠는데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내가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거나 혹은 늦게 자도 아침에 깨었다가 다시 자야 생활이 될 거 같아 오전 30분을 놓친다. 아이들이 내 손길을 덜 필요로 하는 시기가 오면 지금보다 훨씬 원하는 방향으로 시간을 사용할 거 같다.
 
 저자는 91개라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자격증을 보유했는데 시간관리 특히 잠자기 전 30분을 잘 이용했다. 그렇다고 공부에 관한 책은 아니다. 습관에 관한 책이라고 저자도 말한다. 실제로도 자기가 좋아하는 창조적인 것들을 하라고 말한다. 1장은 시간에 대한 오해들을 이야기하면서 습관에 대해 말한다. 참 공감하는 부분이다. 부모가 자식에게 물려줄 것도 바로 좋은 생활습관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습관이란 무섭다. 그리고 무의식적이다. 그래서 저자는 그 습관을 바꾸고자 한다면 무의식을 이용하라고 말한다. 어떻게? 책에 다양하고 간단한 방법들이 나온다. 물론 행동하지 않으면 소용없겠지만.  
 
효율적인 사람은 좋은 습관들을 많이 갖고 있어서 생각하는 시간과 수고를 크게 줄인다.  - 23쪽. 

  2장에서는 하필 왜 잠자기 전 30분인지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30분간 활용하면 좋은 방법들을 3장에서 소개한다. 저자는 좋은 습관 두 가지로 잠자기 전 30분에 씨를 뿌리고 아침 30분에는 수확하라고 알려준다. 물론 밤에 깨어있는 패턴이 맞는 이들도 있다. 야행성이라고 부르는 이들은 그 시간에 집중하며 아이디어를 얻는다. 30대 초반까지 나도 야행성이었다. 지금은 9시 전에 자서 새벽에 일어나는 게 내 신체리듬에 맞는데 현실적으로 그럴 수가 없어서 몸이 피곤하다. 저자는 밤 11시 30분에는 잠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자연과 하나였던 오래전 사람들은 생체리듬이 자연스러웠을 것이다. 다양함이 공존하는 복잡한 현대는 생체시계도 조금씩 바뀌어 가는지도 모르겠다.

 

 자연에 역행하지 않고 사는 게 가장 좋겠지만 그럴 수 없다면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바꿔가면 될듯하다. 어찌 보면 간단한 내용이지만 역시 행동하고 이를 습관으로 들이기가 어렵다. 몸에 익숙해지는 습관으로까지 가는 길에서 포기하지 않는다면 분명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나도 한 줄 일기를 써봐야겠다.

 

 

 

+ 한 줄 일기 쓰는 법

 

1. 오늘 기뻤던 일

2. 오늘 잘한 일

3. 오늘 감사해야 할 일

 

 

■간단 서평: 효율적인 시간 관리법. 잠자기 전 30분과 일어나 30분 활용하기. 공부에 적용해도 좋겠으나 저자의 말처럼 근본적으로 습관에 관한 이야기.

 

 

+ 책좋사(http://cafe.naver.com/bookishman) 책읽기 프로젝트 50. 8기, 21주에 만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