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빵면 - 줄이고 끊고 멀리하라
에베 코지 지음, 신유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제목처럼 밥, 빵, 면을 줄이고 끊고 멀리할 수 있을까? 면은 원래 좋아하지 않았지만 식구들이 면을 좋아해서 나도 조금씩 먹게 되었고 빵은 좋아하는 편이다. 밥까지 모두 아주 좋아하고 잘 먹는 것은 아니지만 점점 비중에 늘고 있는 건 사실이다. 급할 때 간단하게 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주먹밥, 김밥, 샌드위치를 비롯한 빵 종류 그리고 면류. 편리성으로 많은 이들이 찾기도 하지만 맛있어서 멀리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저자의 말을 듣다 보니 편리함은 잠시 접어두고 내 몸을 먼저 생각해야겠다. 내 체격은 표준이나 쩌도 통통을 넘은 적은 없지만 말랐을 때도 보면 복부에는 살이 있었다. 그것이 탄수화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더구나 육류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아서 더 탄수화물이 늘어났다. 그나마 다행인 건 출산 후 단백질 섭취가 많이 늘었다는 사실이다.
 
 인류가 곡물을 주식으로 삼은 것은 약 700만 년 인류 역사 중 겨우 1만 년에 지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니 농경 이후부터 시작된 곡물 주식은 인류 역사로 볼 때 적응되지 않았다는 말이다. 곡물에 불리한 인간의 유전자에 관해서도 언급한다. 이 이론은 예전에도 다른 책(존 브리파의 책이었다.)에서도 읽은 기억이 난다. 게다가 당질인 탄수화물은 중독이 된다. 혈당값도 순식간에 올라서 인체에 좋지 않다는 등의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래서 저자는 당질 제한을 추천한다. 본인도 실행하며 몸이 건강해져서 더욱 확신하며 다양한 이론, 논문 등의 데이터로 독자를 이끈다.
 
 사실 이미 고탄수화물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일반인들도 알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정확하게 어떤 식으로 몸이 반응하는지 또 당질인 탄수화물을 제외하고 먹으며 몸에 나타나는 반응을 직접적으로 들을 수 있다. 대략 알았던 내용이 이해가 간다. 그래서 1장에서는 밥, 빵, 면을 끊으면 건강해지는 이유를 줄기차게 들려준다.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문득 드는 생각. 그럼 도대체 무엇을 먹으라는 말인가? 단백질과 지방에 대한 오해를 풀고 먹으라고 한다. 게다가 채소 중에도 탄수화물이 많아 조심해야 할 것들도 알려준다. 내가 다 즐기는 것들이라 거참 쉽지 않겠다 쉽다. 감자, 고구마, 연근 등 뿌리채소류 그리고 좋아하는 양파, 단호박 등도 너무 많이 먹으면 안된다. 아후~~ 5장과 부록을 통해 먹을 수 있는 계절 식단과 식품을 알려준다. 물론 피해야 하는 것들도.
 
 하루 2끼를 먹고사는 내가 당질 제한 100%는 어렵겠고 1끼만이라도 당질은 피해야겠다. 사실 아직 아이가 어려 육아 중이라 무엇이든 먹으며 끼니를 때우는 때도 많아서 쉽지 않으리라 예상한다. 그러나 내 식단을 점검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가족은 고루 먹이려 노력해도 정작 난 대충이었는데 실은 내가 가장 시급하다. 너무 탄수화물 위주~~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 충분히 이해했고 건강에도 좋음을 알겠는데 밥이 주식인 동양에서 아무리 서구식으로 식단이 바뀐다 해도 아직은 어렵다. 밥, 빵, 면 그리고 떡도 떠오른다. 부록인 식단과 식품이 다양하면 좋겠다. 그 부분은 독자의 조리방법 등으로 바꿔야겠지만 우리나라에 맞게 감수를 받아 현실적이고 다양하게 실렸으면 훨씬 좋을 거 같다. 그 부분이 아쉽다.
 
 또 하나, 단백질과 지방을 섭취하는 것은 좋지만 지방은 좋은 기름을 선택하고 고온에서 산화되는 점을 고려해 사용하고 먹으면 되겠지만 단백질은 항생제나 여러 가지 문제로 고심하게 된다. 그러니 당질제한식으로 먹어도 적정선에서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조금 섞어서 먹게 될 거 같다. 변화는 더디겠지만 고탄수화물 위주에서 이 정도만 변화해도 몸에는 변화가 올 거 같다. 물론 저자의 말처럼 당뇨병 등의 환자분에게는 100% 당질 제한으로 바꾸면 훨씬 변화의 폭이 클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