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여행 2
김훈 지음, 이강빈 사진 / 생각의나무 / 200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실로 오랜만에 만나는 김훈의 글. 그간 읽으며 가슴을 저미게 한 소설도 있었고 또한 아름다운 문체에 깊이 빠져들어 작가의 사유에 감탄하며 행복한 순간도 있었다. 자전거 여행을 읽었을 때의 기쁨은 아직도 생생하다. 그때가 2007년이었는데 소설보다 훨씬 풍부한 작가의 문체는 정말로 아름다웠다. 사람들에게 꼭 읽어보라고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역시 그의 문체는 소설보다 에세이로 만나야 제맛이며 그 진수를 느낄 수 있다.
 
 오래도록 갖고 있다가 이제야 펴든「자전거 여행 2」는 이미 절판되어 다른 표지로 바뀌었다. 그런데 내게는 지금 이 책의 표지가 가장 마음에 든다. 책장에 오랜 시간 두어서 익숙해진 탓인지도 모르지만, 작가가 그의 애마인 자전거 옆에서 포즈를 취한 모습이 그렇게 정겨울 수가 없다. 
 
 어찌하다 보니 올여름 휴가는 2주간 드문드문 다녀왔다. 일주일마다 책을 골라서 읽는데 피곤해서 얇은 책을 읽어야지 하면서도 눈은 이미 이 책에 박혀서 손도 거부할 수 없었다. 읽을 때가 왔나 보다. 난 자전거 여행 책을 항상 여름에 읽는다. 가을에 읽어야겠다고 벼르면서 내 뜻처럼 되지 않는다. 상관없다. 계절과 무관하게 활자들은 나를 반기니까.
 
 그의 유려한 문장을 좋아하는 나는 행복하게 책과 마주했다. 그러나 솔직하게 말하자면 첫 권을 만났을 때의 황홀경에 비하면 조금은 차분해진 느낌이다. 아니면 그동안 내 책 읽는 취향이 변했거나 수준이 달라졌을지도. 처음은 무덤덤하던 내 심장이 후반으로 갈수록 과연 김훈이구나를 실감한다. 초반에 내 눈에 들어온 것은 작가의 사물을 보는 각도. 채움과 비움, 있음과 없음, 앞과 뒤, 시작과 처음 등의 모든 상반되면서도 동시적으로 존재하는 관계적 느낌이었다. 그 반복은 줄기차게 이어져서 끝까지 유효하다. 
 
 작가의 시선이 머무는 곳에 나도 머문다. 활자로만 읽자면 단조로운 지겨움이 되겠지만, 사유의 세계로 이끄는 손길을 따르자면 철학적이다. 이런 성찰력은 매력 있다. 아름다운 글로만 끝나지 않고 들여다보고 곱씹는 맛이 있으니까. 멀지 않은 광릉 수목원에 가서 한국의 재래종 연꽃이라는 노랑어리연꽃도 보고 싶어졌다. 가평 산골 마을의 역사와 남한산성 등의 이야기에서는 치열하게 역사에 관심을 보이고 소설을 내놓은 그의 애정어린 마음도 다시금 느껴진다. 소설「남한산성」이후로는 역사소설을 쓰지 않겠다고 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나는 그 말이 그렇게도 아쉬울 수가 없다.
 
 전편을 다시 읽어보고 싶어졌다. 그래도 난 전편에 더 열광할 것인가. 그것이 궁금하다. 이 책도 괜찮았다. 김훈의 최근 몇 년 작품은 읽지 않아서 모르나 여전히 내가 좋아하는 작가. 피곤한 여행 후에 차분하게 쉬며 사유하게 해준 책이었다.
 
얼굴은 내면의 풍경이고 외계로 향한 창구다.
얼굴의 언어는 말의 언어가 아니라 몸과 마음의 언어이다.
사람은 말로 소통하는 것이 아니라
몸과 마음으로 교신한다.
 
229쪽, 얼굴 그 안과 밖에 대한 명상中
 
+ 책좋사(http://cafe.naver.com/bookishman) 책읽기 프로젝트 50 8기, 6주에 만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