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허난설헌 하면 신사임당과 더불어 여자가 억압받던 시대에 태어나 그들의 이름보다는 며느리, 엄마 등의 이름으로 한 시대를 살다 갔다고 기억된다. 지금도 조선 시대는 수많은 사극으로 재탄생하지만 칠거지악이니, 열녀니부터 시작해서 당시의 유교적 형식이나 전통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참 어렵고도 모진 시대였던 게 사실이다.  

 「홍길동」의 저자 허균의 누이이며 후에 균이 누이의 작품을 모아 엮었다. 만약 그러지 않았더라면 우리는 난설헌의 작품을 만날 수 없었을 것이다. 중국에서는 이미 높은 평가를 받은 그녀의 작품인 시와 문필이 당시에는 그저 아니 될 행동이었다는 사실이 안타깝다. 소설 난설헌은 그녀가 시집가는 15살부터 한 많은 세월에 종지부를 찍는 꽃다운 27살까지의 난설헌을 만날 수 있다. 

 그녀의 작품 위주가 아니라 인물 위주이다. 화선지에 먹물이 번지듯 때로는 가슴이 아리고 때로는 먹 향이 느껴지는 듯하다. 당시 시대상과 비교하자면 자유로운 집안에서 오빠와 동생 너머로 글을 배우고 시를 논하는 등 그 시대 다른 여인들과는 판이하게 성장한다. 그런 사람이 어린 나이에 안동 김가 김성립과 혼인하며 시댁의 전혀 다른 분위기에 숨조차 제대로나 쉬고 살았는지 모르겠다. 극명한 대조로 더욱 힘들었을 것이다. 애초에 학문에는 관심조차 없는 남편은 부인에게 열등감을 느끼고 그런 며느리를 곱게 볼 리 없는 카랑카랑한 시어머니는 갈등관계의 인물이다. 아니 일방적으로 고난을 주는 인물이었다는 표현이 맞겠다. 

 소설이기에 몰입도가 높아서 난설헌의 처지에 더욱 깊이 공감하게 된다. 그래서 어느 순간 책을 다 읽었는지도 모르겠다. 시대와 불화할 수는 없겠지만 어찌도 그녀에게 그리도 모진 일들이 많이도 일어났는지 정녕 기구한 삶이 아닌가 싶다. 그녀의 어머니가 했던 말이 떠오른다. 어쩌자고 머릿속에 촛불을 켜고 사느냐는 말이었다. 거스를 수 없는 아녀자로서의 삶에서 글을 쓰고 먹을 가는 일은 허락되지 않았다. 촛불을 켜들어도 이내 불씨를 꺼버리는 시대에 그녀는 얼마나 많은 한을 속으로만 삭여야 했을까. 작품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소설이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토록 절절하게 마음을 후벼 파는 누군가의 인생 이야기. 또한, 혼불문학상에 걸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난설헌의 작품집만 나온 책을 갖고 있지는 않지만 이미 아는 몇몇 작품을 책을 통해 더 와 닿게 되었다. 남편에게 보냈던 시 또한 그러했다. 스산해지는 날씨 속에서 어쩐지 슬픈 눈망울을 가져야만 했던 여인의 피지 못한 꽃이 지는 계절이다. 실로 오랜만에 감정이입이 되었던 소설이었다.

 

 

 

+ 이 서평은 책을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받아서 읽은 후

느끼는 대로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