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의 힘 - 매혹적인 스토리텔링의 조건
이창용 외 지음 / 황금물고기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이야기가 넘치는 시대, 이제는 스토리 텔링의 시대
 
 어릴 때 옛날 옛적으로 시작하는 이야기에 빠져보지 않은 사람이 몇이나 될까. 그만큼 이야기는 재미있었다. 누군가의 모험 등의 내용을 들으며 응원하기도 하고 깊이 공감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게 다가 아니었다. 커서도 여전히 이야기에 열광한다.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소설을 통해 또 누군가와 직접 대화하면서 그리고 짧게는 광고도 이젠 감성에 호소하는 시대이다. 도대체 이야기의 매력은 무엇일까. 
 


 정리한다면 이야기란? 인생의 균형이 깨진다, 인간은 균형을 되찾기 위해 인생의 온갖 세력과 고군분투한다……. 인류가 이야기를 통해 수천 년간 설명하고 납득시켜온 것이 바로 이것입니다. 인간은 균형을 잃었을 때 그것을 되돌리고자 한다는 것 말입니다.

 

 

(64쪽, 전설적인 시나리오 닥터 '로버트 맥기' 특별 인터뷰 중에서.) 

 이 책은 EBS 다큐 프라임에 방송된 내용에 살을 덧붙여 출판된 책이다. 다큐 프라임 방송의 책들은 모두 기대가 크다. 방송을 좋아하기도 하지만 책 또한 감동의 크기가 줄어들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은 방송을 보지 못했지만, 스토리 텔링에 관심이 많아서 책만 읽어도 재미있었다. 또 예전에 읽은 <나는 이야기 장사꾼이다, 정영선 저.>가 떠올랐다. 그때도 즐겁게 읽었는데 두 권의 책을 함께 읽어도 좋을 거 같다. 

 

2. 쉽고 재미있는 책의 내용 속으로 

 스토리 텔링에 대한 책을 처음 접하는 초보자에게도 부담 없을 만큼 가독성 있는 내용이다. 이야기에 대한 초반부 내용을 만나며 얼마나 많은 것이 이야기의 힘을 빌리고 있는지 문득 알게 될 것이다. 게다가 이어지는 내용으로 이야기를 직접 만들기에 대한 팁을 보며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이야기로 살아남은 여인 셰에라자드, 아직도 회자되는 히틀러, 세계적인 이야기꾼 스티븐 킹 등도 빼놓을 수 없는 이야기꾼이다.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웃고 울고 하며 여러 가지 감정을 나눈다. 교감의 접점에는 이야기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끊임없이 책에서 알려준다.

 그럼에도 보다 깊이 있는 내용을 원하는 독자라면 조금 심심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이미 이야기의 재미에 푹 빠지게 하는 매력이 있는 책이라 스토리 텔링에 대한 기술적인 이야기는 시나리오 관련 책이나 실제로 글을 써보면서 습득해도 될 거 같다. 특히 Part 2 이야기 직접 만들기 부분은 실제 시나리오가 비교되어 실려 있어서 글 쓸 때 참고해도 좋을 것이다.

 

3. 누구나 원하는 이야기 

 직업이나 필요에 의해 공부하는 이들 말고도 일반적으로도 우리는 이야기를 잘하고 싶다. 또한, 글을 그만큼 잘 쓰고 싶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나를 보여주는 수단으로의 글쓰기 욕망은 이미 광범위한 일상이 되었다. 꼭 누가 읽지 않더라도 나를 표현하고 싶은 욕망 그리고 작가들처럼 독자와 소통하는 식의 연결고리로 쓰이기에 많은 이들의 관심사가 될 수밖에 없다.  

 인간 대 인간으로 마주할 때 공감하기 위해서는 이야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더러는 느낌만으로 통할 수도 있겠지만, 지속적인 관계에서는 공감할 수 있는 어떠한 이야기가 필수조건이다. 타인의 이야기에 반응하며 동일시되는 순간 더는 타인만의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4. 그리고 

 우리는 아마도 거짓 이야기를 더 많이 접할지도 모르겠다. 옛날이야기부터 역사나 신화 속 인물 그리고 역시 간접경험의 연장선이 책과 영상매체들 또한 그렇다. 그럼에도 나와 무관한 거짓 이야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 속에서 찾아낸 나만의 고유성과 겹치는 부분을 새롭게 되살릴 수 있으니 말이다. 

 오늘 하루 만난 지인과의 이야기 속에서도 우리는 때로 공감하고 고개를 가로젓기도 한다. 이야기란 참으로 보편적이면서도 개인적이다. 새롭게 이야기에 대해 재조명하게 된 시간이라 참 재미있게 만난 책이다.  

 

+ 이 서평은 책을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받아서 읽은 후

느끼는 대로 솔직하게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