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의 서울 산책 - 오세훈의 마지막 서울 연가!
오세훈 지음, 주명규 사진, 홍시야 그림 / 미디어윌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1. 오세훈의 마지막 서울 연가, 서울의 新명소 44! (출판사 카피 적용.) 

  이제는 전 서울시장이라고 불리게 된 오세훈 서울시장. 서울 토박이로 자라고 서울과 문화를 사랑한 그답게 책에는 우리가 몰랐던 서울의 명소가 소개된다. 그가 재직하면서 서울은 더욱 새롭게 변화된 것이 확실하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서울은 갈 곳이 없거나 볼 게 없다는 말이 많았다. 선진국과 비교하면 공원의 수준이나 건물적 디자인 개념 등 여러 가지가 각박했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 
 

 내게 필요한 적절한 정보를 찾아서 직접 가보기 좋게 잘 안내해주는 이 책이 있기 때문이다. 사실 기대 없이 읽었는데 새로운 곳도 많고 집과 가까운 곳에 있는데도 몰랐던 장소도 있었다. 시간이 없는 이들에게는 지방으로 길을 나서기보다 그나마 가까운 서울로 주말 나들이를 갈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 흥미롭다. 


 책의 띠지에 쓰여있는 출판사 측 말처럼 오세훈의 마지막 서울 연가를 과감 없이 보여주는 책이다. 그의 시장직은 여기서 끝났을지 모르지만, 이 책은 남아서 많은 사람에게 서울의 명소를 계속 알려줄 것이다. 항간에 들리는 말로는 저자가 유학을 준비한다고 하는데 서울이 얼마나 그리워질까 싶어진다.

 

2. 책 내용 살펴보기

  시작은 북촌이다. 한옥마을로 유명한 곳이라 특히 출사 장소 등으로도 인기가 많은 곳이다. 내게는 서촌이 더 신기했다. 언젠가는 꼭 가 보고 싶은 곳이다. 한옥마을을 따로 보존해야 할 만큼 전통한옥이 사라진 요즘이지만 아파트에도 한옥바람이 불고 있어서 실내장식 등이 변하고 있다. 아마 한국인이라면 마음 한편에 마당이 있는 한옥에서 살아보고자 하는 작은 소망이 있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특히나 도시로 대변되는 서울에서 한옥은 더 그리움의 대상이다. 

 새롭게 알게 된 곳은 서촌뿐이 아니다. 연희문학창작촌, 서울 성곽길 등도 알게 되었고 집에서 그나마 가까운 서울 창포원도 꼭 가고 싶어졌다. 여름에 알게 된 북서울 꿈의 숲도 안내되어 있어서 반가웠다. 또한, 이미 알고 있었지만 새로운 정보까지 더해져 당장에라도 달려가고픈 곳이 늘어만 간다.

 남산에도 유모차를 끌고 갈만한 길이 있으며, 광화문 S-Day로 문화 즐기는 법, 서울연극센터 3층의 '여성행복 아이돌봄센터'에서는 토, 일요일 아이를 돌봐주어서 엄마도 마음껏 연극을 감상할 수 있는 팁까지! 지금 내게 필요한 요긴한 정보들이었다. 영화관에 가고 싶어도 못 갔는데 연극은 이렇게도 볼 수 있구나 싶어서 가지 않아도 기분만으로도 충분했다. 

 또 책의 뒤편에는 서울 산책 가이드북이 있어서 앞에서 이야기한 내용이 보기좋게 정리되어 있다. 한눈에 보기에도 지도며 근처 가볼 만한 곳이며 군더더기 없어서 편리하다. 부록인 자전거 도로 지도는 자전거 애호가에게 또다른 선물일 것이다.

 

 3. 우리가 사랑하는 서울

  도시는 차갑다는 이미지가 강하지만 그 안에 전통과 따스함을 품고 있는 도시로 거듭날 때 비로소 사람들의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을 것이다. 우리의 서울은 어떠한가. 과거보다 확실히 나아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아직도 환경적인 문제가 있고 발전도 계속되고 있으나 분명한 건 서울에 사는 사람들뿐 아니라 찾아오는 모두에게 나은 방향으로 흘러가야겠다. 문화란 것은 사실 만들어가기 나름이다. 점차로 여건이 개선되고 있으니 더욱 기대해볼 만하다. 

  서울의 명소를 모두 찾아가보지 못해도 가까운 곳부터 흥미가 당기는 곳부터 하나씩 찾다 보면 좋을 거 같다. 한 장소의 사계절을 음미하거나 시간대에 따라서도 자연은 늘 새롭지만, 위안을 주기에 질리지 않을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서울의 이모저모에 대한 책이 앞으로도 많이 출간되길 바란다.

 
 4. 그리고

 책의 내용은 참 좋았다. 그러나 간간이 멈추게 되는 이유는 아마도 시장직을 어이없이 물러난 저자 때문이리라. 자신이 사랑한 서울에 열정이 있었기에 책의 모든 장소를 직접 찾아가 사진도 찍고 몸소 체험한 모습은 인상적이다. 그러나 자꾸 정치적 의도와 연결되는 것도 같아서 솔직하게 신경이 쓰였다. 이를테면 나는 이 정도로 서울을 사랑하오라, 그래서 이런 장소가 생겼소라는 식의 간접광고로 느껴진다고나 할까. 아직 그가 시장으로 남아 있었다면 은근 티 내더라 하고 끝내면 될 텐데 지금은 그가 없어서 결국 마지막 서울 연가로 남게 되지 않았나 싶다. 

  개인적으로 저자에 대해 어떠한 감정도 없다. 어찌 되었든 간에 서울의 명소를 잘 소개한 거 같아 즐겁게 읽은 책이다. 

  

+ 이 서평은 책을 출판사로부터 무료로 받아서

느끼는 대로 솔직하게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