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려라, 아비
김애란 지음 / 창비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김애란이란 신인이 나타났을 때 신문에서 처음 접했다. 그 해에 나는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었던가. 기억조차 흐릿하지만, 신문에서 본 그녀는 쉬이 잊혀지지 않았다. 기억 속 어딘가 박힌 채 그렇게 시간이 흘렀다. 그러던 어느 날 <달려라, 아비>를 읽게 되었다. 이 책은 단편모음으로 그 첫 작품이 제목과 동명의 단편이다. 젊은 신예라더니 정말이지 톡톡 튀고 상큼했다. 지금까지 만난 작가와는 다른 신선함이 좋았다. 그렇게 시간은 또 지났고 책이 출판되고도 한참인 이제서야 나는 온전하게 이 책과 만났다.  

 단 하나의 문장을 고를 수는 없었지만, 전체적으로 마음에 들었다. 예전에도 읽었던 <달려라, 아비>는 이제 앞부분을 외울 지경이다. 우습다. 겨우 두 번 읽었는데 말이다. '나의 몸은 말[言]을 몰라서 어제도 내일도 갖고 있지 않았다.'(8쪽.) 그만큼 그녀의 문장이 경쾌하고 군더더기가 없다는 말이겠다. <그녀가 잠 못 드는 이유가 있다>를 읽으며 불면증으로 쉽게 못 자는 시간이 떠올랐고 <영원한 화자>를 보며 지겹도록 반복되는 문장의 열거가 못마땅하면서도 어쩐지 생각을 불러서 결국 활자를 뚫어져라 쳐다보는 나를 발견한다. <누가 해변에서 함부로 불꽃놀이를 하는가>는 단막극으로 만들어도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고 <노크하지 않는 집>의 그녀들이 남 같지않고 마지막으로 머릿속에 박힌 듯 그려지는 <종이 물고기>의 여운도 길다.  

 유쾌하고 즐거운 우리 시대의 이야기. 그리고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들은 정겹지만 슬프지는 않았다. 즉 부정적인 이미지는 그녀의 표정이 아니었다. 작가의 표정은 시종일관 어둠과는 거리가 먼 밝음의 속도와 닮아있다. 쉽고 재미있게 이야기하면서도 그 안에 위트를 버무려 두었다. 알아서 꺼내 읽으시라. 두둥둥. 이런 느낌이다. 이래서 김애란, 김애란 하는구나.  

 다시 <종이 물고기>로 가서 글쓰는 작가의 마음이 엿보여서일까. 또한, 글쓰기에 관심이 있는 독자인지라 그럴지도. 포스트잇의 비늘이 흔들리는 생각만으로 머리가 꽉 찬다. 벽에 노란 포스티잇의 물결을 보노라면 즐겁다. 물론 나는 다른 의미로 포스트잇을 붙이지만, 그 경건한(?) 마음이 어떤지 심히 이해가 간다.  

 서평을 남기고 싶지는 않았다. 그저 기억하고 싶은 문장을 몇 줄 남기고 싶었는데 어쩐일인지 찾아도 찾아도 찾아지지가 않았다. 이럴 수도 있구나 싶다. 그저 가볍게 여겼고 그래서 오래도록 읽을 생각조차 하지 않았던 작가의 책을 이제야 읽고는 한다는 소리치고 싱겁기는 하다. <침이 고인다>, <두근두근 내 인생>은 언제나 읽을까. 책장에 올려만 두었는데 바로 손이 가진 않는다. 아마도 이 책의 여운을 조금 더 즐겨보자는 심산이렸다. 저자의 펄럭이는 기지와 글이 마음에 잔물결을 오래도록 일으키면 좋겠다. 바라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