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탄과 결혼하다 - 세상에서 가장 느리고 행복한 나라
린다 리밍 지음, 송영화 옮김 / 미다스북스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탄이라는 나라를 들어본 기억이 있던가. 정확하게는 모르겠지만 이름만 아는 나라였다. 그러나 국민 행복지수가 1위라는 사실만으로도 궁금한 나라가 부탄이었다. 히말라야 동쪽 끝 중국, 인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작은 왕국으로 티베트와 함께 가 보고 싶은 나라이기도 하다. 신비에 쌓인 알려지지 않은 나라가『부탄과 결혼하다』를 읽으며 내면 어디선가 그리던 곳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  

 이 작은 나라는 매년 2만여 명 정도만 외부인 방문을 허용한다. 청정 자연을 보호하기 위함이며 게다가 가이드를 동행해야 한단다.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이 일상 깊이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기에 이 같은 조치는 당연하게 느끼는 사람들. 그들이 사는 나라 또한 편리한 문명이 조금은 스며들었다 한다. 그렇다해도 그들은 신기한 문명 앞에서도 재미있고 호기심을 느끼지만 그저 보기만 할 뿐 구태여 사거나 이용하지 않는다. 만약 우리라면 그렇게 할 수 있을까. 더 편리하고 새로운 것에 열광하는 지금의 세태와는 동떨어진 이곳 사람들의 방식이 새롭게 다가온다. 

 마음으로는 조금 불편해도 아날로그적인 삶의 방식으로 살아가고자 원해도 실제로는 어려운 부분이다. 가끔 불필요한 것들에게서 벗어나고자 이따금 정리를 한다. 버리지 않고 필요한 누군가에게로 가도록 분리수거를 하는 셈이다. 순환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이것이야말로 부탄인들이 사는 방법이었다. 자연과 닮은 사람들 그리고 물질적 욕망에 물들지 않는 강한 내면을 가진 이들은 정겹고 순수했다. 그리고 그 어떤 사람들보다 행복하다. 

 저자 린다 리밍은 39살에 부탄을 처음 방문하고 그곳이 좋아 정착하게 된다. 거기서 남편 남게이를 만나고 좌충우돌 문화적 충격을 경험하면서 적응한다. 그 어느 때보다 행복하다는 저자의 일상은 사실 불편하고 느리고 관점의 차이도 있다. 그러나 그녀는 외적인 것보다 내적인 것을 보게 되며 기꺼이 감수하고 받아들이고 이해한다.  

 침묵에 대해 사람들에게 물으면 어떤 의견을 낼까. 대부분 침묵이 흐르면 불편해한다. 그래서 애써 침묵을 깨 가며 이런 저런 대화를 시도한다. 아무런 말없이도 함께 할 수 있으며 그 시간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때는 잘 아는 이들 사이이거나 할 때를 제외하면 없다는 식이다. 그러나 우리가 잊고 있는 게 있다. 우린 아직 말을 하지 못하는 아이와 함께일 때 아무런 말없이도 행복을 느낀다. 지나가는 누군가가 베푸는 작은 친절에도 때로는 고맙다는 말보다 웃음과 묵례만으로도 충분할 때가 있는 것이다. 그러니 억지로 말을 끄집어낼 필요는 없다. 부탄인은 이미 침묵 혹은 고요에 익숙한 이들이었다. 우리 사회가 잠시만이라도 고요한 행복에 빠져본다면 얼마나 좋을까.  


 많은 서양 사람들이 기적을 느끼는 감각을 잃어가고 있다. 그러다 정말 기적이 일어나기라도 하면 알아볼 수나 있을까? 너무 바쁜 나머지 알아차리지도 못할 것이다. 그들은 부와 능력처럼 멋진 것들을 얻었다. 하지만 육감이나 통찰력, 그리고 지각력에 해당하는 놀라운 능력들은 대부분 잃어버렸다. 하루하루 분초를 다투며 살아갈수록 그런 인식을 위한 시간은 점점 줄어드는 것이다.

 

-104쪽에서 부분 발췌.
  읽기 전부터 마음이 편해질 거 같다는 생각을 했지만 기대 이상이었다. 부탄을 알게 되어 좋은 시간이었고 그들의 삶의 조각에서 잠시나마 기분 좋은 만족을 느꼈다. 나는 부탄에 살지는 않지만 내가 사는 바로 이곳에서 그들처럼 만족하고 느리고 행복하게 사는 방법을 찾아가고 마주할 것이다. 때로 바쁘게 살더라도 꼭 기억하고 싶은 부분이다.

 현명한 사람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사랑하지 않는다.

 사랑, 그 자체에서 행복을 발견하기 때문에 사랑한다.

 

 -파스칼. (띠지 뒷편에 적힌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