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홀 - 도시를 삼키는 거대한 구멍
이재익 지음 / 황소북스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싱크홀은 지하 암석이 용해도거나 기존의 동굴이 붕괴되면서 땅이 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위에서 보면 원형으로 구멍이 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홀이라는 표현이 붙었습니다. 오랫동안 가뭄이 계속되거나 지하수를 지나치게 빼 쓰는 경우에도 생기고, 지반이 구조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내려앉는 경우도 있습니다."

 

 

- 196쪽.D +1 에서.
 블랙홀이 언뜻 떠오르는 제목인 싱크홀은 위에 인용한 글처럼 땅이 꺼져 들어간 원형의 구멍을 뜻한다. 현대사회는 점점 초고층 빌딩을 경쟁적으로 짓는다. 오래전 63시티(빌딩)이 생겼을 때의 놀라움도 잠시. 지금은 아파트가 더 높게도 올라가며 세계 각국은 자국에 더 높은 빌딩을 쌓느라 많은 것을 희생한다. 자연을 훼손하니 환경도 파괴되고 각종 인명사고도 예외 없이 일어난다. 그중 소설에서 말하는 싱크홀은 구조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내려앉은 예이다. 달리 말하면 인간 내면의 욕망이 그만큼 컸다는 간접증거겠다. 

 이런 시기에 나온 소설『싱크홀』은 한국 최초의 블록버스터 재난소설이라는 특별한 점 이외에도 우리가 사는 지금을 말하는듯해서 더욱 생생하게 느껴진다. 소설의 배경, 뉴스, 음악, 지명 등 모두가 현실과 같아서 금방이라도 어디선가 싱크홀이 일어날 것만 같다. 실제로 작년에 과테말라에서는 작은 규모이지만 싱크홀이 있었다.  

 시저타운이라는 지상 123층, 지하 7층의 압도적인 건물이 완성되고 이를 축하하는 기념일에 건물은 사라진다. 깊이를 알수없는 어둠에 갇힌 생존자를 구출하고자 정부와 시저타운 관계자, 민간인들이 나선다. 그러나 우왕자왕하는 정부와 달리 혁이라는 산악인은 딸과 아내를 구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여기에 동호가 함께한다. 동호 역시도 사랑하는 사람이 건물에 있었다. 그리고 혁과 산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 소희까지 합세한다.  

 재난영화나 소설을 보면 다양한 인간군상을 만날 수 있다. 위기에 대처하는 자세 혹은 인간 본연의 모습인 추악함을 비롯하여 혼란한 틈을 타 갖가지 범죄도 일어난다. 누군가 생사의 기로에서 허덕일 때 또 다른 이는 금품을 털거나 살인, 강간 등을 일으킨다. 특히 스티븐 킹의 소설 <스탠드>에서 여지없이 보여주는 부분이다. 저자 이재익의 책은 처음이지만 영화 시나리오를 쓰는 등 왕성한 활동을 하는 작가였다. 현재 SBS 라디오 <<두시탈출 컬트쇼>>의 담당PD이며 인터넷 서점서 연재 중인 소설도 곧 책으로 나온다고 한다. 

 싱크홀이란 소재를 통해 현 사회를 꼬집는 점이 신선했다. 내가 좋아하는 문장력을 가진 작가는 아니지만, 그의 반짝임이 흥미롭다는 사실과 우리나라에도 이런 작가가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도 읽는 동안 즐거웠다. 그러나 여러 등장 인물을 통해 혼동의 세계를 보여주지만 아무래도 한 권의 책에 담아내다 보니 역부족이었다. 권 수가 늘더라도 더 많이 묘사하고 담았으면 하는 아쉬움을 감출 수가 없다. 책의 중간까지 인물의 관계도 등을 자세하게 알려준 것은 좋았는데 이후 진행사항이 빠른건 좋지만 더 길어졌으면 훨씬 재미있었을 것이다.

  "매 순간 딸의 목소리가 들립니다. 딸아이가 아빠를 부르고 있습니다. 천 미터 땅 밑에서요. 이대로 아이를 잃는다면 저는 평생 제 자신도, 이 나라도 용서하지 못합니다. 저는 내려가야 합니다. 꼭 내려가야 합니다."

 

- 240쪽.D +3 에서.
 그럼에도 영화로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미 <해운대>라는 영화가 관객에게 많은 호응을 받은 바 있으니 싱크홀 또한 잘만 만든다면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도시를 삼킨 거대한 구멍 싱크홀보다 어쩌면 인간의 탐욕이 더 거대하지 않을까. 어디까지 가야 만족할지 아무도 알 수 없고 측정 또한 불가능하니 말이다. 요즘 일어나는 자연재해도 가만 보면 결국 인간의 잘못으로 되돌아오는 게 많다. 무분별한 계획으로 길을 닦고 넓어져도 언젠가는 이를 다시 회복시키고자 몇 곱절의 노력이 들어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