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의 발견 - 내 안에 잠재된 기질.성격.재능에 관한 비밀
제롬 케이건 지음, 김병화 옮김 / 시공사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명체의 어느 한 부분에 대해 아는 일이란 생각보다 어렵다. 미지의 영역인지라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중이어도 아직도 먼듯하다. 그러나 이 책을 만나면 조금은 이해가 될 것이다. 특히나 성격을 통해 재능 등 여러 가지를 마주할 수 있어서 자신을 새롭게 이해하게 된다. 이 정도면 매우 흥미롭다.
 

 특히나 그중 성격만을 이야기한다고 해보자. 짐작하듯 참으로 막연하다. 내성적인 성격, 활발한 성격부터 시작해서 내성적인 성격조차도 소심한 내성적인지 활발한 내성적(반대일 것 같지만, 분명히 두 가지 기질을 다 가진 사람도 있다.), 민감하지만 활발한 성격 등 이루 열거하기 쉽지 않을 만큼 다양하다.  비슷하게 느껴질수는 있을지언정 똑같은 성격의 사람은 없다는 말이다. 

 

 즉, 쌍둥이나 형제자매들도 서로 다르다. 같은 환경에서 똑같은 자극을 받았어도 그에 대응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인데 이것이 바로 기질과 연관이 있다. 이 책에서는 그래서 기질에 대한 이야기가 많다. 심리학이나 육아서 등에서도 말하는 부분인데 그만큼 삶에 중요한 맹점이다. 이를 이해하려면 그에 따른 다양한 사례를 통한 저자의 글을 따라가면 된다. 물론 흥미로운 이야기지만 논문 느낌이라 천천히 읽는 게 도움이 된다.

 

 또한, 각자의 기질을 결정하는 요인은 여러 가지라는 사실이다. 단 하나의 요인으로 결정되기보다 종합적인 상황 등을 통해 자신만의 기질이 생기니 이를 잘 파악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아이의 기질을 빨리 파악하는 게 그래서 도움이 된다. 예민한 아이에게 지나친 자극은 스트레스일 뿐이란 사실을 뒤늦게 깨닫는다면 이미 그 아이는 상당히 신경질적인 아이로 자라있을 수 있다는 그런 식의 예는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어른과 아이, 남자와 여자, 자극의 강도와 지속성, 환경적 요인 등 수없이 많은 것을 고려해야 하니 복잡할 수밖에 없다. 또 기질의 형성이 복잡한 만큼 이를 바꾸려는 것도 어려운 일이니 무조건 바꾸려고 하지 말고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먼저이다. 제롬 케이건 교수가 들려준 성격 형성 보고서를 만나 즐거웠다. 모든 것에는 이유가 있다는 말을 다시금 떠올려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