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쾌한 논어, 21세기에 답하다 - 알기 쉽게 풀어쓴 알기 쉽게 풀어쓴 동양철학 시리즈 2
푸지에 해설, 이성희 옮김 / 베이직북스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전, 잠언 등 시대를 초월해 사람들에게 관심 받는 말이 있다. 그중 하나인 논어도 빠질 수 없는데 흔하게 알려진 말 가운데 논어에서 비롯된 것도 정말이지 많다. 이루 열거할 수 없을 정도인데 그만큼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도 적용되고 감동을 주는 깨달음을 담고 있어서라고 생각한다.


아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을 이길 수 없고, 좋아한느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

 

- 마음이 맞는 친구가 먼 곳에서 찾아오는 것은 즐거운 일이 아닌가?

 

- 배운 내용을 때때로 되새기는 것은 또한 즐거운 일이 아닌가?

 

- 지나친 것은 오히려 모자란 것만 못하다. 중용.

 

- 만 가지 악 중 게으름이 으뜸이다. 기회주의.

 

 

(본문 중 간략하게 뽑아서 인용.)

 일전에 알기 풀어쓴 고전읽기 시리즈에서『유쾌한 노자, 현대인과 소통하다』를 만났었다. 가려 뽑아서 짤막하고 간단했지만 부담 없이 접할 수 있어서 베이직북스의 출판의도와 잘 맞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역시 이 책도 마찬가지였다. 논어(論語)란 공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덕과 의, 인 등을 통해 독자에게 생각거리를 준다.

 

 그러나 해석이라는 것은 절대적이지 않고 상대적이며 개인적이다. 그러니 이를 통해 어떠한 것을 깨닫고 취하는지는 자신에게 달렸다는 의미이다. 유교적 사고관에서 폐쇄적이고 불평등한 부분만을 따르는 것과 시대와 상황에 맞게 적절히 변경해 따르는 것은 천지차이이기 때문이다. 

 

 또한, 동양고전은 우리에게 무관한 부분이 아니라 어느덧 삶에 자연스레 녹아온 것이므로 그 근본을 알아두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물론 베이직북스의 고전시리즈는 해설이 다 중국사람이라 어쩌면 우리의 정서와는 조금 다르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그네들의 입을 통한 경전해설이라는 점에서 읽어볼 만하다. 

 

 공자의 이상적인 사회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실 우리가 꿈꾸는 이상향이 이루어진 사회가 실제로 존재할 수 있는지를 따져본다면 당연한 결과일지 모른다. 그럼에도 한 인간이(물론 그를 따르는 무리 포함.) 그토록 오래도록 꿈꿨던 이상향을 접하는 것만으로도 약간의 갈증이 해소된다. 전폭적인 지지를 보내는 이도 있을테고 그중 공감하는 부분만 이해해도 좋다고 생각한다.

 

 원문도 함께 실려 있으니 참고할 수 있지만 간결하게 이야기하기 때문에 더 깊은 성찰은 독자의 생각으로 이어져야만 가능하며 논어에 대한 책을 더 많이 들여다봐야 할 것이다. 작고 휴대하기 편해서 들고 다니며 한 구절씩 곱씹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다. 더는 고리타분한 고전이 아니라 실생활에서 우리와 함께하는 논어가 되길 빌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