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사랑 자연이유식 궁극의 비법 시리즈 요리 3
유미경 지음 / 도미노북스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출산 후 어느 정도 몸이 회복되어가면 다음 걱정이 이유식인 거 같다. 생후 4개월 전부터 밥상만 보면 침을 흘리며 먹고 싶은 눈길을 보내는 아기를 두고 언제 이유식을 시작할지부터 고민에 들어간다. 이유식이 빠르면 알레르기 걱정에 소화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소용없다는 말을 듣고 요즘은 6개월부터 시작한다고 했다. 그래서 5개월 중순부터 시작했다. 다행히 아기는 이유식을 정말 잘 먹었다. 지금도 먹는 걸로 걱정시킨 적이 없어서 쉽게 이유식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역시 고민은 있다. 이유식량이 늘어가며 횟수도 이젠 어른과 똑같이 하루 세 번인데 뭘 해먹일지 걱정이다. 11개월부터 일반 진밥을 먹었지만 그래도 일주일에 두 번 정도는 이유식 진밥을 만들어 준다. 소화과 의사가 쓴 한 권의 이유식 책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었고 재료만 바꿔서 이래저래 변화도 주지만 다른 방법을 찾고자 온라인의 도움도 받았다. 그러던 차에 만난『아기사랑 자연이유식』은 정말이지 요즘 잘 쓰고 있다.

 

 이유식 책이 다 거기서 거기 같기는 하지만 내가 가진 이 두 권의 책은 확실히 다르다. 결론은 둘 다 좋다는 의미이다. 돌이 지나 이용하지만 그럼에도 다양하고 앞으로도 더 쓸 수 있어서 정말 좋다. 뒷부분의 손수 만드는 간식편도 마음에 든다. 아이가 자라도 얼마든 사용할 수 있었고 특히 고구마양갱, 연근과자, 코티즈치즈, 땅콩잼은 새로운 정보였다. 물론 이유식 책을 보면 이미 온라인이나 다른 책에서 본 내용도 겹치지만 이렇게 새로운 내용이면서 현실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보가 있어서 마음이 기운다. 그래서 요즘 이 책을 식탁에 두고 이유식 메뉴를 정하고 있다.

 

 책을 자세히 이야기하자면 우선 저자는 요리가나 의사가 아니고 평범한 아이 엄마였으며 글과 사진 등 많은 부분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 이유식에 대한 기본 이야기인 재료나 보관 등은 어느 책이나 비슷하겠지만 직접 음식을 만들고 사진으로 담으며 글까지 썼다는 게 신기했다. 또 이유식 만드는 방법을 간략하게 적었지만 바로 아랫줄에 친절하게 주의점, 응용, 팁까지 적혀 있다. 그래서 처음 이유식 책을 고르는 엄마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예를 들어 재료를 넣고 볶으라고만 쓰여있는데 실제로 타는 거 같을 때가 있다. 이럴 때 저자는 타는 거 같으면 물을 더 넣으라는 등의 아주 세세한 이야기도 놓치지 않는다. 본인의 경험을 근거로 해서 만든 이유식 책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내가 가진 다른 이유식 책은 소아과 의사가 써서 이런 세세한 부분에 대한 언급은 없다. 대신 초기, 중기, 후기 등의 식생활습관이나 영양 불균형 등에 대한 이야기를 전문가적 견해로 자세하게 썼다. 그러니 두 사람은 자신의 분야를 최대한 발휘한 것이다. 내가 보기에는 두 책 모두 훌륭하다. 더 이상은 이유식 책을 살 생각도 없지만 참고할 필요도 없다고 본다. 

 

 쉽고 재미있게 그리고 엄마표 정성이 들어간 이유식을 만드는 일은 생각보다 어렵다. 그러나 자신에게 맞는 이유식 책을 잘 선택해서 되풀이하다 보면 즐거운 이유식 시간이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합격이며 추천할 만하다고 본다. 그런데 한 가지 궁금한 점은 자연이유식이라는 제목이다. 이유식은 아이를 위한 요리이기에 다 자연식인데 굳이 자연이유식이라는 말을 쓰지 않아도 될 거 같다는 점이다. 어쩌면 제목의 어감을 맞추려고 선택했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