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통신 1931-1935 - 젊은 지성을 깨우는 짧은 지혜의 편지들
버트런드 러셀 지음, 송은경 옮김 / 사회평론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와의 인연은 러셀의 행복론이 명쾌해서 좋아하기 시작했었다. 그때까지는 막연하게 러셀의 한 권의 책만 줄기차게 되풀이해서 읽었던 것 같다. 그러다 얼마 전 『로지코믹스』를 읽고 철학자뿐 아니라 수학자, 논리학자로의 모습에서도 열정이 느껴져 역시 러셀이다 싶었다. 
 

 이 밖에도 역사학, 종교, 반전운동 등 실로 다양한 분야를 깊이 있게 두루 통찰하는 그의 식견이 좋았다. 자신만의 확고한 철학이 있고 그 바탕 위에 논리적이고 명쾌하게 이야기하는 방식이 러셀의 장점이다. 논리학자라 그런지 막힘없고 고집 세게 주장만 하지 않아서 공감한다.

 

 『런던통신 1931-1935』또한 마찬가지로 4년 동안 쓴 짤막한 칼럼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전혀 어렵지 않다. 그러나 실로 다양해서 크게는 정치, 경체, 역사 등부터 전문적인 과학, 철학부터 개인적인 사소한 이야기까지였으며 제법 두툼한 책임에도 독자에게 전혀 부담을 주지 않았다.

 

 그럼에도 한 사람의 신변 잡설로 그치지 않는 이유는 시대를 초월한 깊이 있는 성찰 때문이리라. 80여 년 전의 글이 지금에도 적용되는 것들이 꽤 많았고 그때와 별반 다를 게 없는 세상이라는 것도 재미있다. 심지어 육아에 대한 이야기도 지금과 똑같다!

 


 경험에서 진정으로 무언가를 배우려면 열린 마음을 가져야 한다. 과학을 하는 많은 이들에게 이런 태도가 다소 부족하긴 하지만, 열린 마음은 과학적 기질의 정수다. 경험에 바탕을 둔 과학은 경험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고, '소식적' 경험으로 알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것들을 알게 해준다.

 

 대체로 세상은 우리가 생각하는 바와 같다. 우리의 이론이 세상을 빚어내며, 우리가 믿음으로써 그 이론은 진실이 될 수 있다. (이하 생략)

 

(56쪽, <경험에서 배워야 하는 것>가운데 부분인용.)

  시대는 다르지만, 러셀의 시대도 까마득한 과거와는 구별되는 옛날이 아닌 현대시대였다. 지금도 마찬가지라 공유의 폭이 더 넓었다. 사람들은 바쁘게 일하고 여가를 즐기지 못하는 삶을 산다. 물론 요즘은 주말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많지만 러셀의 말에 따르면 그들은 진정한 의미에서의 여가를 즐기는 것인지 자문해볼 필요가 있다.

 

 분위기에 따라서, 마지못해서, 의무적으로 여가를 즐기는 것(오락을 일처럼 즐긴다는 의미)과 스스로 원해서 즐기는 삶과는 확실히 다르다. 삶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진정한 삶의 가치에 대해 돌아보게 된다. 교통이 발달해서 멀리까지 가게 되고 여행의 폭도 넓어졌으나 사람들은 더욱 바빠진다. 일장일단이 있다고 해도 선택은 언제나 각자가 할 일이다.

 


 영리한 사람은 많아졌지만 지혜로운 사람은 줄어들고 있다. 지혜란 천천히 생각하는 가운데 한 방울 한 방울씩 농축되는 것인데 누구도 그럴 시간이 없기때문이다.

 

(72쪽, <명상이 사라진 시대> 가운데 부분인용.)

  <아이들은 현실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라는 칼럼의 제목을 가만히 떠올려본다. 두려움 때문에 남의 이목때문에 내가 품은 기준이나 가치를 버리고 살지는 않았는지 고심해야겠다. 하나의 생각을 두고 계속 떠올리며 고민한 시간이 많았을 거 같은 러셀. 그래서 확고한 자신만의 생각체계를 전 분야에 걸쳐 완성한 사람이다. 딱딱하지 않고 유머러스한 글들은 독자의 굳은 사고를 유연하게 해줄 것이다. 가끔 꺼내서 아무 꼭지나 펴들고 읽어도 좋을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