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교과서는 살아 있다
유영제.박태현 외 지음 / 동아시아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과학 중에서도 생물이 가장 좋았다. 그러나 대부분 학생에게 암기과목으로 통해서 시험 전에 벼락치기로 많이 외우던 과목을 대표했었다. 그럼에도, 나는 생물 수업시간이 즐거웠다. 신기하기도 하고 더 알고 싶은 게 많았던 탓이었다. 대학입시 때 생물 쪽과 환경공학 쪽도 살피며 미래를 전망해보기도 했다. 결국 흐지부지해졌지만, 다시 이 책을 만나며 생명과학이 거듭 꽃피고 있음을 돌아보게 되었다.

 

 사실 생명과학 분야는 조금씩 발전해왔고 앞으로도 무궁한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책의 부제처럼 생명과학이 세상을 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금도 인간을 구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미생물 등을 활용해 자연환경을 되살리는 데 중점을 두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인간이 망가뜨린 자연은 이제 재앙으로 돌아오고 있음을 너무도 잘 알기 때문이다. 물론 이래서 미생물공학이 미생물 고문학이라고 우스갯소리를 한다는데 과연 그럴만하다. 우리가 필요해서 멋대로 미생물을 귀찮게 하니 말이다.

 

 『생명과학 교과서는 살아있다』는 여러 명의 생물공학 교수들이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와 연계해서 만든 책이다. 그래서 일반인에게도 쉽게 읽을 수 있다. 우리와 상관없을 거 같은 생명공학이 일상에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이야기를 통해 관심을 두게 된다. 고등학생들도 시간을 내서 읽는다면 생물 교과서에 대해 더 흥미를 느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신종 플루(신종 인플루엔자 A), 감미료 아스파탐과 자일리톨, 에스키모들이 주로 고기를 먹어도 심장병이나 혈관질환에 걸리지 않는 이유 등 재미있는 이야기도 많다. 또한, 책을 통해 '안드로젠 내성 증후군'에 대해 정확하게 알게 되었다. 즉, 남성이지만 체내의 남성 호르몬 수용체 이상으로 외형적으로 여성처럼 보이는 증후군인데 10만 명당 2~5명 정도의 발병 빈도가 있다는 사실(176쪽.)이었다. 오래전 학창시절 떠돌던 풍문의 실체를 제대로 이해하게 된 것이다. 그때는 정보도 부정확했고 학생들 사이에 남자였다가 여자가 되기도 하는 등의 돌연변이라는 식의 이야기가 한참 있었다.

 

 과학이란 게 그런 거 같다. 당장 실체를 모를 때는 당시 사회의 반영 등에 비춰 오해와 이해를 받지 못한다. 그러다 과학적으로 밝혀지고 나면 그 모든 오해가 사라진다. 아직도 풀어야 할 게 많으니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상상력 그리고 관찰력 등을 통해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이 과학도 다른 것도 다르지 않다.

 

 또한, 생물 자원의 중요성만큼이나 생명윤리도 중요하다. 과학서를 읽을 때마다 느끼지만, 과학기술의 진보만큼 과학윤리는 나아가지 못하는 게 안타깝다. 실은 이것은 사회전반적인 분위기일지도 모르겠다. 도덕, 윤리라는 과목은 있지만, 실생활에서는 응용되지 않는 사회. 어떠한 잣대로도 이는 올바르지 않음을 알면서도 교육정책은 변함이 없다.

 

 마지막 장의 NASA의 발명품(내비게이션, 귀체온계 등)을 보며 실생활에서 쓰는 많은 것들이 첨단 과학의 영향을 많이 받음을 새삼 알겠다. 생명과학이 세상을 구할 것이라는 말에는 전적으로 공감하지만, 생명윤리가 바탕에 없다면 결국 우리는 그로 인해 반대로 망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이 책에 그런 부분이 더 많이 담겼으면 좋았을 거 같지만, 독자 모두에게 쉽게 다가서도록 만들었다는 장점만으로도 좋았던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