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만 보는 바보 진경문고 6
안소영 지음 / 보림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로운 책이 나오는 게 중단되지 않는 이상 책장을 정리하는 일은 끝이 없을 것 같다. 그러나 읽고 있는 책, 읽으려고 쌓아둔 책, 읽다가 먼저 읽은 책을 뒤적거리는 일 등은 내 삶의 빼놓을 수 없는 즐거움이다. 집에서는 육아와 살림을, 밖에서는 사람들과 만나며 행복을 느껴도 책이 주는 행복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날숨과 들숨을 의식하지 못하듯 책이 일상이 된 지 오래다. 다만, 좀 더 깊이 책속으로 들어가고 싶다.

 

 간서치(看書癡)라 불려도 기쁘게 받아들인 이덕무와 드디어 만났다. 오래전부터 간서치하면 이덕무란 공식 아닌 공식을 들어와서 궁금했는데 책만 사두고 잊고 있었다. 그러다 얼마 전에 읽은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강명관 저>를 통해 이번에는 꼭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가만 돌이켜보니 이미 예전에도 이 두 책의 순서를 정해두었었다. 시작은 <죽비소리, 정민 저>였다. 이덕무의 <이목구심서 耳目口心書>에 나오는 글 때문이었다. 돌고 돌아 이제야 마주한 것이다. 계획을 이제야 실행했다. 옛날 사람들이 책을 대하는 태도를 마주할 때마다 감동하고 또한 적잖이 반성한다.

 

 이덕무는 조선 시대 서파라는 신분을 타고났다. 자신이 직접적인 서자가 아니어도 조상 중에 있었기에 자동으로 태어날 때부터 바꿀 수조차 없는 불운했던 꼬리표. 그가 아무리 학문에 정진한다 해도 뜻을 펼칠 수조차 없었다. 삶은 고단하고 가난이 뱃가죽을 등과 붙여둘 지경이었다. 그런데도 책을 놓지 않았으며 오히려 책읽기에 대한 즐거움을 노래했다. 희망이 없는 나날 속에서도 유일한 빛이 되어준 책이 있었기에 그는 절망하지 않았다. 갈라진 틈새로 들어오는 매서운 바람으로 등불이 흔들리자 논어로 바람막이를 만들고 맹자를 팔아 밥을 먹는 등 책에 대한 이야기들이 정겹다.

 

 그렇다고 책 속에만 함몰되어 살았던 것은 아니다. 분명히 그 누구보다 책과 마주하는 시간이 많고 깊었지만, 그와 같은 상황의 벗들과 끊임없이 왕래한다. 바로 백탑파(원각사지 10층 석탑)라 불리는 이들이었다.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유득공 등이었는데 이들과의 관계 속에서 당시 시대상과 학문뿐 아니라 우정을 볼 수 있어서 의미 있다. 어쩌면 이들은 서로에게 등불과도 같은 존재가 아니었을까. 이런 지기들과 함께 보낼 수 있었기에 이덕무는 절망하지 않았을 것이다.

 

 나를 알아주는 벗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충분했으리라. 막막한 삶에서 이보다 더 튼튼하고 믿음직한 끈이 또한 어디 있었을까. 그것도 한 명도 아닌 여러 명의 벗과 함께 기뻐하고 슬퍼했다. 이들에게는 높은 벽의 현실 그리고 책을 그 무엇보다 소중하게 여긴다는 게 공통점이었다.

 

 벗들이 힘을 모아 청장서옥(靑莊書屋)ㅡ청장은 이덕문의 호. 푸른 백로라는 뜻.ㅡ을 지어준 모습도 감동적이다. 모두 처지가 비슷했기에 넉넉하지 않았을 텐데도 초라한 이덕무의 집에 그만의 공간이 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자신들의 책을 팔아서 지어준 공부방이라니! 얼마나 큰 위안과 힘이 되어주었을지 알만하다. 비록 서로 무릎을 맞대고 앉아야만 하지만 그래서 또한 정겹지 아니한가 싶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책 또한 귀히 여겨 읽고 또 읽으며 깊게 곱씹을 수밖에. 지금 우리가 책을 어떻게 마주하는지 떠올리면 반성하지 않을 수 없다. 너무도 쉽게 얻고 또한 쉽게 읽고 책장에 넣어버리곤 한다. 항상 그렇지는 않겠지만, 이 문제는 두고두고 기억해야 할 문제이다.

 

 이덕무는 책만 읽는 사람이기 전에 글에도 능했으며 성격이 차분하고 내성적인 사람이었다. 뜻을 펼치고자 해도 허락되지 않았지만 39세에 규장각에 들어간다. 정조가 인재를 두루 등용한 결과였는데 그가 얼마나 기뻐하고 열심히 일했을지 눈물이 난다. 책에 대한 이야기부터 벗들의 이야기 그리고 중국 유리창 서점 이야기, 규장각에 들어가기까지 한 편의 감동적인 영화가 따로 없다. 실로 오랜만에 가슴을 뛰게 하였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나온 책이지만 모두가 함께 읽었으면 하는 책이다.

 

 부제가 '이덕무와 그의 벗들 이야기'이므로 이덕무뿐 아니라 백탑파를 함께 만날 수 있어서 더없이 진귀한 시간이었다. 더 넓은 책의 세계인 유리창(중국의 거대 서점가.)으로 가서 그들이 보고 느낀 그리고 맺은 인연(홍대용을 물꼬를 텄다. 필담만으로 중군인 친구를 사귐.) 그리고 규장각에 들어가고(드디어 이들에게도 할 일이 생기고.) 각자의 책을 쓰는 일(박제가의 <북학의> 등.) 등을 보며 얼마나 기뻐했는지 모른다. 마치 내 친구들의 일처럼 그러했다.

 

 조선 시대 이들을 책으로 만나 이렇게 몰입하고 그 어떤 소설보다 흥미롭게 읽게 될 줄이야. 아마도 책과 진정한 벗들의 이야기라 그러했으리라. 시간을 함께 한다는 것은 단순히 보내는 것만이 아닌 나누고 쪼개서 더욱 크게 만드는 일인 듯하다. 책만 보는 현재의 바보들에게 고하는 것이리라. 책에 함몰되지 말 것이며 책 속에서 길을 찾고 만들어 성큼성큼 걸어나가라! 마음이 통하는 벗이 있다면 더욱 좋으리라.

 

 

* 알라딘 서점에서 품절도서를 단독으로 판매하는데 거기에 이덕무의 <책에 미친 바보, 미다스북스>가 있는 걸 보았다. 함께 읽어도 좋을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