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좋아하지만, 책에 관한 책은 즐겨 읽지 않는다. 글쓰기에 관한 책 또한 마찬가지이나 그럼에도 읽고 나서 기분이 좋아지고 후련해지는 때가 있다. <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도 바로 그렇다. 잠시 이야기하자면 책에 관한 책을 읽지 않는 이유는 간단하다. 책 속에 함몰될까 두려워서이다. 진정으로 읽고 싶은 책을 읽는 게 아니라 손에 주어지니까 혹은 모두가 읽어서라는 이유 등이라면 과히 기분이 좋지 않다. 물론 그렇게 만난 책이더라도 만족을 준다면 횡재한 기분일 것이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계획 없는 책읽기는 곁가지가 너무 많아져 나무기둥보다 가지가 무거워진다는 점이다. 물론 그래도 끄떡없을 정도의 내공이라면 상관없겠지만, 그런 식의 책읽기도 해보았는데 내게는 계획적인 방향이 더 기억에도 남고 책에 다가서기 편했다.

 

 이 책은 조선의 책벌레들 이야기가 가득하다. 우선 책표지 디자인이 마음에 드는데 실제로 보면 은은하고 아름다워서 그 옛날 비단 책표지가 이렇지 않았을까 싶다. 책의 두께도 마음에 드는 점이다. 더 두꺼웠어도 아마 좋아했을 것이다. 그만큼 손을 내려두기 싫게 집중해서 흥미롭게 읽었다는 말이다.

 

 조선 서적 문화의 중심은 바로 중국에서 수입된 서적들이었다. 이것은 당시 지식층인 사대부나 읽을 수 있었는데 그들이 조선을 이끌었으니 바로 세종대왕, 정조를 비롯하여 이황, 이익, 이덕무, 박지원, 정약용 등이었다. 초반부에 금속활자로 책을 찍자는 정도전 이야기를 시작으로 어떻게 책이 보급되었으며 활자로 찍어낸 책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내용으로 이어진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정조가 책을 탄압했다는 사실이다. 우리가 기억하는 정조와는 사뭇 다른데 그가 책을 탄압한 이유를 조목조목 설명해준다. 그래서 저자 강명관이 왜 정조를 책과 사상의 탄압자라 부르는지 알게 된다. 그렇다면 나머지 판단은 이제 독자의 몫이다.

 

 하나의 집단이 뭉치는 데는 반드시 목적이 있고 목적을 뒷받침하는 사상이 있게 마련이다. 어떠한 윤리나 규범(특히나 도덕적 이념.) 없이 집단이 탄생한다면 그건 아마도 혼돈 그 자체일 것이다. 조선은 지금도 사대부의 나라, 성리학의 나라로 후대에 전해지는데 당시 시대상을 보면 이해할 수 있다. 책은 한마디로 종이에 지나지 않는 게 아니다. 어쩌면 모두가 알 것이다. 더구나 저자가 책벌레들 이야기를 들려주며 안내하는 조선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시간이 언제 지났는지도 모른다. 이황, 이덕무, 박지원, 정약용을 좋아하는 독자가 많으니 그들의 이야기만 만나도 행복하리라.

 

 훈훈한 이야기로 기억되는 건 역시 홍대용의 이야기다. 그 시대에 중국의 지식인과 개별적으로 만나 오직 필담으로 마음을 트고 인맥을 쌓다니 대단하다. 한마디로 책에 미친 사람 사이에는 국경도 없다는 이야기지만 지금과 비교하니 왠지 서글프다. 오프라인 인맥을 넘어 온라인 인맥까지 가진 우리 중 책으로 만나 이렇듯 깊게 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눌 누군가를 모두가 갖고 있을까. 아니라고 본다. 남의 글을 읽지 않으니 마음이 통할 리도 없다.

 

 그리고 이 책의 진정한 매력은 저자 강명관의 냉소적인 글투라고 해아 한다. 흥미로운 책벌레들 이야기를 듣노라면 마음이 푸근해지지만, 그가 꼬집어 비판(간혹 너무도 시니컬한)하는 이야기를 듣자니 머리가 서늘해진다. 이렇게도 생각할 수 있겠구나 싶다. 그래서 더 흥미로웠다. 바라건대, 하나의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두고 여러모로 조명한 다양한 의견의 책이 봇물 터지듯 쏟아졌으면 한다.

 

 하나 말하자면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라는 말은 모두가 안다. 그러나 그 금속활자로 과연 무엇을 찍었는지에 대한 언급이 없다. 이를 저자가 들춰낸다. 당시 중국 서점시장의 활성화와 우리의 금속활자. 입안이 쓰다. 이는 마치 최신 업데이트를 모두 받을 수 있는 최고급 컴퓨터를 묵혀두고 쓰더라도 선 긋기나 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었다. 이 밖에도 저자의 다양한 의견을 들으며 생각조차 해보지 않았던 것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었다. 책 이야기를 좋아하는 독자와 아울러 새로운 시각으로 역사를 돌아보는 걸 좋아하는 독자에게도 만족을 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