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숲에서 누구는 외롭다. 그리고 누구는 사람이나 그 밖의 여러 가지 문제로 마음이 심란하다. 살아가는 일은 축복이면서 동시에 버거운 일이기도 하다. 마음이 어지러울 때 어딘가로 떠나고 싶지만 늘 그럴 수만은 없는 현실이 발목을 잡는다. 그럴 때 책은 좋은 친구가 되는데 <절은 절하는 곳이다>가 그랬다. 소설가 정찬주가 순례한 남도의 작은 절을 차례로 따라가다 보니 어느새 마음이 편해진다. 특히나 개인적으로 남도를 좋아해서인지 언젠가는 나도 가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실은 예전부터 어머니와 절을 찾아 떠나는 여행을 계획했었지만 실행하지 못했는데 언제가 되더라도 이 책을 떠올리며 꼭 가봐야겠다. 종교에 관계없이 절이란 곳은 누가 들어서건 간에 마음에 이는 칼바람을 잠재운다. 나도 그런 경험이 있기에 저자의 마음이 공명하여 큰 떨림이 되었다. 일단 저자가 정찬주였기에 이런 책이 나왔을 테지. 노을의 황금빛깔로 물든 미황사를 보며(책의 사진.) 어느 가을 보았든 이름 모를 절의 풍경이 선했다. 눈부시게 빛이 나서 서까래며 벽면 등을 물든 고운 빛을 정확하면서도 우아하게 표현하는 모습 그리고 불심과 다도에 조예가 깊은 그답게 글 곳곳에서 느껴지는 향기가 좋았다. 글에서 느껴지는 저자 고유의 풍경이나 느낌이 있는데 책에서 풍기는 게 딱 그였다. 갑자기 <하늘의 도>라는 그가 쓴 책이 떠오른다. 발자국을 남기며 눈 위에서 걸음을 떼던 모습과 책 등장인물의 내면이 혼재되 시공간을 무너뜨리는 듯하다. 위에서 말했듯 저자의 문장력과 더불어 여러 절에 대한 간략한 설화 등과 사진이 함께한다. 특성상 많은 곳을 짤막하게 소개하다 보면 지루할 만도 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았다. 한번에 읽지말고 쉬어갈 때마다 펼쳐야 할 책이었다. 유마사에서 '살아있는 부처를 무서워하라'라는 말도 인상적이다. 역시 설화의 일부라 전체를 소개하지는 못하고 큰소리로 꾸짖는 말을 옮겨본다. "너는 종이에 그린 부처는 무서워하면서 어찌 살아 있는 부처는 무서워하지 않느냐!" (109쪽.) 어쩌면 어디선가 들은 기억들이 있을 것이다. 나 또한 그랬는데 그곳이 유마사라는 걸 이제서야 알았다. 그리고 유명한 운주사의 거지부처가 문득 보고 싶어진다. 저절로 절하게 하는 거지부처이다. 욕심도 사랑도 미움도 다 버린 무욕無慾의 얼굴이다. 이루고 싶은 꿈이 복잡한 나로서는 결코 닮지 못할 얼굴이다. (290쪽.) 설화는 당시 상황의 재현이다. 민중이 바라는 희망을 담는데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 절마다 간직한 역사에서 꺾이지 않는 희망이 보인다. 시詩가 말言과 절寺이 합쳐졌다며 절에서 마음을 비우고 스스로 되돌아보라는 저자의 말 또한 잊지 못하겠다. 침묵의 언어는 시가 된다고 했으니까. 절의 수를 줄이고 더 자세하게 실을 수도 있었겠지만 어디까지나 순례길에 만난 절들이라 하나하나 그에 걸맞은 풍경을 독자에게 전한다. 수행이 수행자만의 것이 아니듯 책을 접하는 독자 또한 자신만의 수행을 정진하라는 거 같다. 미래나 삶에 대한 행복한 기대감보다 더 떨리는 것은 현재 진정으로 내가 원하는 게 무언지 아는 일이다. 그리하면 수없이 내 몸과 마음이 부서져 망가지더라도 포기하지 않을 테니까. 지금이 아무리 절망적이더라도 맑은 차 한 잔 우려내 내면과 마주하는 시간을 가져야만 하는 이유이다. 단순한 절소개서가 아닌 명상서처럼 마음을 안아준 책이었다. 물론 저자처럼 불심까지 있다면 더욱 몰입할 수 있으리라. 그렇지 않더라도 마음의 일기예보란 게 없는 우리 모두에게 한순간이나마 마음의 고요를 보태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