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이로운 꿀벌의 세계 - 초개체 생태학
위르겐 타우츠 지음, 헬가 R. 하일만 사진, 최재천 감수, 유영미 옮김 / 이치사이언스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꿀벌이 사라지면 인간은 4년밖에 존재할 수 없을 거라고 아인슈타인은 말했다. 꿀벌 없이 수분, 식물, 동물, 인간도 없을 거라고 단언한 그의 말은 책에도 실려 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이 책을 읽어가며 알게 되었다.   

 어릴 때부터 벌은 꽃 주변이나 산에 가면 만나는 반갑지 않은 손님 정도로 생각했었다. 어쩌면 나비나 개미에 비교하면 관심을 두지 않았던 것인지도 모르겠다. 벌침이나 쏘는 녀석이라고 생각했지만 커서 벌의 공동생활과 벌집의 과학적 특성을 알게 되면서 신기하다는 생각이 앞서기 시작했다. 

 그렇게 시간은 지나갔고 이 책을 만나고서야 왜 꿀벌의 세계가 경이롭다고 했는지 과히 이해할만했다. 그런 면에서 정말이지 잘 읽었다는 느낌과 동시에 이제는 벌에 대해 아주 조금은 이해하게 되어 고마웠다. 

 포유동물은 척추동물 중 가장 뛰어난 학습능력과 인지능력을 소유하고 있다는데 꿀벌의 학습능력과 인지능력은 척추동물을 능가할 정도(본문 6쪽 인용.)라는 말은 과장이 아니다. 우리는 뇌의 크기가 클수록 지능이 발달했다고 생각하는데 그런 뇌를 가지고도 쓸모없이 사용하는 일도 있으니 단순해 보여도 본능적이지만 제대로 이용하는 꿀벌의 능력은 높이 살만하다. 읽을수록 흥미진진한 이 책의 내용은 100% 이해할 수는 없지만 많은 부분에 있어서 생각의 틀을 살포시 깨주었다.  

 여왕벌 이야기는 빼놓을 수 없었는데 왜 여왕벌을 최소화하는지 모든 꽃잎은 자외선을 반사하는데 인간은 볼 수 없지만 꿀벌은 이를 볼 수 있으며 그것이 시간적 무늬가 되어 우리가 보는 일반적인 색과 다르다는 사실 등도 알게 되었다. 즉, 우리가 보고 아름답다고 느끼는 꽃의 색깔이 꿀벌에게는 다르게 보이며 이런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하는 모습도 신기함의 연속이었다.  

 무엇보다 예전부터 관심이 갔던 꿀벌의 건축적 특성을 보다 이해하게 되었다. 건축 재료를 꿀벌의 몸에서 자체생산하다니 이보다 놀라울 수 있을까. 물론 거미도 거미집을 지을 때 그러하지만, 꿀벌과 거미는 공동과 개인이라는 커다란 차이점이 있다.  

 이토록 작은 꿀벌과 인간 그리고 지구환경에 대한 이야기는 작은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실은 거대한 이야기의 출발이었다는 점을 꼭 기억하고 싶다. 인간의 자만이 파괴한 환경을 되돌리는 방법을 찾는 노력이 시급하다 하겠다. 그것이 모든 자연생태계가 더욱 건강하게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데 대한 최소한의 예의와 배려이며 최선책이라 생각한다. 

 감수에 쓴 최재천의 말처럼 도대체 꿀벌이 왜 갑자기 사라지기 시작했는지 적극적으로 연구했으면 하는데 한 표를 던진다. 이 책을 읽는거만으로도 충분히 호기심을 많이 풀 수 있을 것이며 이 작은 꿀벌이 생물의 다양성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 알게 되었다. 무엇보다 책에 있는 사진이 선명하고 다양해서 큰 장점이었다. 그래서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었다. 그리고 이런 사실을 대중에게 알려준 저자와 끊임없는 노력과 관찰력으로 꿀벌의 생활을 지켜보고 연구하는 이들에게 박수를 보낸다. 이에 동참하는 작은 방법이 이 책을 읽는 것이라 생각한다. 더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가지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