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못 읽는 남자 - 실서증 없는 실독증
하워드 엥겔 지음, 배현 옮김 / 알마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책을 못 읽는다면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이런 생각만으로도 머리가 하얗다 못해 결국에는 까매질 것만 같다. 아무렇지도 않게 행하는 동작 중에는 얼마나 소중한 것들이 들어 있는지 모르겠다. 책의 저자 하워드 엥겔은 뇌졸중의 후유증으로 글을 쓸 수는 있으나 읽을 수는 없게 된다. 무슨 말이냐면 이것은 피아니스트에게 손을 못 쓴다고 말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는 뜻이다. 
 
 쓰기만 하고 읽을 수 없으니 퇴고과정 자체를 직접 할 수 없는 불편은 물론 글에 중독된 베스트셀러 작가에게 신문의 단 한 줄조차도 허락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뇌의 시각영역 손상으로 읽는 능력을 잃었으니 그에게는 사형선고나 다름없다. 그러나 신기한 것은 작가는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 책이 만들어졌다. 작가의 고군분투기를 옮긴 것이 아니라 나름의 방법으로 이를 극복하며 여전히 글을 쓰는 작가로 남은 것이다. 

  내가 이런 상황이라면 어떨까 생각해 보았다. 아마도 오디오북이나 녹음기를 최대활용하였을 거 같다. 그러나 고집스러운 노작가는 이를 거부한다. 책을 쓰고 가족이나 지인에게 읽어달라고 하고 출판사에서 편집을 도맡는다. 즉, 그는 끈질기게도 시각을 통한 책읽기를 포기하진 않는다. 청각을 통한 책읽기는 마치 순수하지 않다는 듯 말이다. 대신 작가는 한 글자마다 초점을 맞춰 손가락으로 그리고 혀로 따라 하고 그 한 글자가 무슨 글자인지 맞추고 기억하려 노력한다. 그렇게 모은 단어를 다시 또 문장으로 인식하는 일은 평범한 이들에게는 몇 초도 걸리지 않는 쉬운 일(ㅡ저절로 이루어지는 일.)이지만 그에게는 몇 번을 반복해야만 하는 끝없는 싸움이다. 

 그런데도 이렇게 책을 써내었다는 점에서 대단하다 싶다. 물론 글을 쓸 수 있으니 그저 쓰기만 하면 될 거 같지만, 글을 쓴다는 자체가 한 번에 쭉 이어쓰면 끝이 아니기 때문에 어려운 것이다. 한 문단을 쓰고도 돌아보면 앞뒤가 맞지 않고, 오타 등 고칠 게 많으니 잘 알 것이다. 그래서 사실 이 책의 구성은 다소 자유분방하다. 문학적 작품으로 읽기보다는 작가의 개인적인 이야기이다.

 그의 작품을 직접 읽지 못해 안타깝지만, 자신에게 꼭 필요한 능력을 상실하고도 포기하지 않고 극복하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네 손가락의 피아니스트 희야처럼 각자의 영역에서 평범한 사람들 이상으로 노력하여 정상에 우뚝 선 이들을 보면 감동한다. 그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의 시간을 넘어 자신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은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던진다. 하워드 엥겔 또한 뇌졸중으로 중요한 능력을 상실했지만, 그에게 작가적 역량까지는 빼앗을 수 없었다. 그래서 여전히 작가로 남을 수밖에 없는 사람임이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