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도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4
서머싯 몸 지음, 안진환 옮김 / 민음사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이 어느새 200권을 넘는가 싶더니 서머싯 몸의 <면도날>이 벌써 214권이다. 제법 두툼한 책을 부여잡고 읽기 전에 습관처럼 제목과 표지를 훑어보았다. 날이 선 느낌의 제목과 사색에 잠긴 사람. 이 사람이 에드워드 뷰러인가. 그를 모르지만, 책을 덮고 나자 작품 속에 녹아있는 인물처럼 느껴진 것은 비단 나뿐만이 아니었으리라.  

 작가 서머싯 몸은 이 책에서 작중화자로 분한다. 소설이 아닌듯하지만 결국은 소설이면서 동시에 이야기를 끌어가지만, 중심인물이기 보다 그들을 엮어주는 이야기꾼이다. 작가인 그의 주변인물을 통해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상태를 꾸밈없고 순수하게 보여준다. 엘리엇, 래리, 이사벨, 그레이, 소피, 수잔을 통해 다양한 삶의 관점을 지켜보자니 지루할 틈 없이 술술 책장이 넘어갔다. 

 그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인물 래리에게 관심이 갔다. 스무 살이 채 되기도 전에 비행기 조종사로 전쟁(세계 1차대전)에 참여하지만 돌아오고 나서 많은 부분이 변해버린다. 약혼자 이사벨은 래리를 사랑하지만 이해하기는 어려웠다. 래리의 세계는 이제 전쟁 전후로 크게 나뉘었으며 내면으로 자꾸만 깊이 들어간다. 성공이 보장된 화려한 삶과 직업을 버리고 자신만의 물음의 답을 찾고자 파리로 건너가고 이후 여러 곳을 떠돌아다닌다. 이사벨과 그레이, 소피는 모두 친구지만 이들의 삶은 너무도 다르다. 래리는 소위 말하는 현실적이지 않은 선택을 하고 좋게 말하면 여행이지만 실상 길에서의 삶을 선택한다. 마지 조지 오웰의 자전소설 <파리와 런던의 밑바닥 생활>에서처럼 노숙자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다르게 보면 수행자였다.  

 몽상가처럼 보이는 래리, 화려한 삶과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원하는 이사벨과 그레이, 감수성 예민한 시를 쓰던 소녀에서 만신창이로 전락한 소피. 그리고 이사벨의 삼촌인 엘리엇은 품위유지와 사교계를 주축으로 언제나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인물이다. 마지막으로 수잔은 래리와 재미있는 인연으로 얽힌 사람인데 어려운 환경에서 살기 위해 무엇이든 행했고 이후 꿈을 이룬다. 등장인물이 많지만 이들은 모두 친구, 가족 등으로 씨실과 날실처럼 겹쳐지고 나뉘기도 한다.  

 거기에 세계 1차대전 후의 상황, 미국의 경제발전 도약, 유럽의 화려한 파티와 사교문화와 예술 등이 배경이라 한 편의 영화를 보는듯하다. (이미 두 번이나 영화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들의 삶을 따라가는 긴 여정이 길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이다. 특히나 래리와 이사벨의 극명한 대조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우리들의 모습이 겹쳐진다. 안주하려는 자와 모든 것을 털어버리고 길을 나선 자. 래리는 전쟁에서 상처를 받았지만, 그것은 당시의 혼란기를 사는 사람들 모두의 공통점이었다. 무언가 잃어버린듯한 공허함을 채우고자 혼란과 방황의 경계에서 선택하는 방식이 달랐을 뿐이다.   

 한 사람의 삶에 대한 구원만이 아닌 그 시대를 그리고 이 시대를 사는 모든 이들의 구원에 대한 이야기로 느껴진다. 그래서 나를 비롯한 모두에게 묻고 싶어졌다. '당신은 당신의 삶을 진정으로 원하는 방식으로 살고 있습니까? 내가 할 수 있는 말은 이 한마디뿐입니다. 정답은 없다는 사실 말입니다. 다만, 구원의 방식이 다를 뿐입니다.' 서머싯 몸이 70세 전후로 출판한 <면도날>은 노장 작가의 원숙한 시선이 가득 묻어난다. 찐득찐득하게 무더운 여름 한 권의 책을 선택하라면 이 책도 목록에 넣어두면 좋을 거 같다.  

 

면도칼의 날카로운 칼날을 넘어서기는 어렵나니.
그러므로 현자가 이르노니, 구원으로 가는 길 역시 어려우니라. 

-카타 우파니샤드 (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