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사사진의 모든 것 포토 라이브러리 8
브라이언 피터슨 지음, 공민희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처음 사진을 찍기 시작한 게 언제였더라. 기억나는 건 중학생 때부터였다. 집에 있는 낡은 미놀타 수동 카메라였는데 내가 아닌 친구들이 나를 찍어주면 어김없이 거리조정 등을 못해 흐릿하게 나오는 일이 태반이었다. 이후 자동카메라가 생겨도 언제나 미놀타 카메라가 손에 익어 즐겁게 학창시절 졸업까지 사용했던 거 같다.   

 다음 필카는 로모 카메라였다. 20대 중반의 어느 생일날 자신에게 준 선물이었는데 색감이 마음에 들어서 흠뻑 빠졌었다. 이때 사진과 교감하고 감성을 나누는 의미를 이해하게 되었던 시기였다. 렌즈를 통해 담아내고 현상 되기까지의 시간은 언제나 행복하고 설렜다. 그러나 로모에도 단점이 있었으니 접사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나중에 접사를 위해 DSLR을 꼭 사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막상 DSLR과 디카가 여러 개 생겨도 접사를 시도하진 않았다. 가끔 꽃 사진을 찍고자 드물게 시도하기는 했지만 어느 순간부터 손에서 카메라를 놓자 흐지부지되었다. 그러던 차에 다시 접사사진에 관심을 두게 된 것은 브라이언 피터슨의 이 책 덕분이었다. 표지의 양귀비꽃을 찍은 모습부터 인상적이다. 

 책장을 넘길수록 눈에 띄는 사진이 많아졌다. 게다가 상세하게 렌즈, 거리감, 속도, 카메라에 대한 이야기들이 있어 열심히 읽어보았다. 그러나 사실 다는 모르겠더라. 카메라를 손에서 놓은 지 오래고 자동디카만 사용해서 감이 늦게야 왔다. 그래도 이 책 물건이다 싶다. 나중에 많은 참고가 될 것이라는 강한 예감과 옆지기가 탐을 내고 있다는 사실만 보아도 그렇다.

 동물의 눈을 찍은 사진을 보면 그저 지나쳤는데 이 책에서 만난 눈을 보며 비로써 교감의 중요성에 대해 퍼뜩 생각이 났다. 교감이 없다면 절대로 담을 수 없는 것이 눈이다. 물론 과학장비 등을 통해서도 할 수는 있겠지만 생생한 날것의 느낌이 그대로 묻어나기에는 현장에서 직접 담는 것을 따를 수 없을 것이다.  

클로즈업사진에서 찾을 수 있는 놀라운 사실 가운데 하나는 어떤 발견이 다른 발견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153쪽.) 

 접사사진의 세계 속으로 빠져들게 하는 매력적인 사진들이 가득한 책이다. 이슬 등 자연의 세세하고 생생한 것뿐 아니라 구겨지고 낡은 생활용품까지 클로즈업을 통하면 하나의 예술이 되었다. 지나쳐 버린 것들을 재발견해내는 기쁨의 순간이다. 이런 경이로운 즐거움이 접사사진의 수고로움을 충분히 덜어준다. 게다가 예쁘거나 독특한 것으로 끝나지 않고 질감까지 가미된다면 더없이 훌륭하다. 

 눈으로만 보던 것을 접사사진을 통해 시선을 옮기면 어떤 느낌일까. 그저 과학적이고 기계적인 확대일 뿐일까. 전혀 그렇지 않았다. 더없이 소중하고 한없이 무한한 세계를 만나는 듯하다. 제대로 된 꽃접사사진을 찍을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 책을 만난 것은 좋은 경험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