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세의 예술 - 예술은 영혼의 언어이다 헤르만 헤세 : 사랑, 예술 그리고 인생
헤르만 헤세 지음, 폴커 미켈스 엮음, 이재원 옮김 / 그책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헤세를 처음 만난 것은 <데미안> 때문이었다. 집에서 가져온 책들로 재탄생한 특별반 교실의 책꽂이. 거기서 뽑아들고 읽기 시작하면서 단번에 사로잡은 싱클레어와의 이야기는 사춘기 소녀의 마음을 벅차게 만들었었다. 이후 헤르만 헤세의 책은 닥치는 대로 찾아 읽었다. 다 이해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 다만, 헤세가 추구하는 내면, 자아탐색 등의 세계를 만나며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는 게 기억에 남는다. 삶의 이면이나 어두운 면에 대해서도 돌아보게 하는 물꼬를 터주었다.  

 이후 헤세의 시를 공책이나 수학 연습장의 첫 장에 적어 두고는 했으며 성인이 되어서는 헤세의 그림, 정원 등에 대한 다방면에 관심이 있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사춘기 때만큼은 아니지만, 아직도 나는 헤세를 좋아한다. 그래서 언젠가는 그의 책들을 다시 찾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이는 설레는 계획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두렵기도 하다. 예전에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다시 읽고 어릴 때만큼의 감흥이 없어서 실망했던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헤세와의 인연이 절로 떠오른 것은 그책 출판사에서 나온 <헤세의 예술>때문이다. <헤세의 인생>, <헤세의 사랑>과 함께 나온 이 책들은 제목처럼 헤세의 수많은 글 중에서 각 주제에 맞게 편집해서 실은 책이다. 엮은이는 헤세의 작품을 연구하는 폴커 미헬스라는 사람인데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다. 하나의 주제에 대해 이렇듯 지속적으로 폭넓게 사유한 헤세의 모습 또한 인상깊다. 그러나 솔직히 조각 모음된 글을 쭉 읽어나가는 건 생각처럼 재미있지 않아서 이따금 접어두기도 했지만, 다시 떠오를 때마다 책장을 펴고는 했다. 그러다 보니 쉬엄쉬엄 읽었는데도 어느새 마지막 책장을 덮게 되었다.  

 실로 오랜만에 만난 헤세의 글에서 느낀 점이 있다. 관념적이지만 현학적이지는 않다는 사실이다. 얼마나 많은 시간을 생각하며 방황했는지 알 수 있다. 물론 가장 쉽게 느낄 방법은 헤세의 소설들을 만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듯 뽑아 낸 조각 글에서도 특유의 사유력이 느껴져 좋았다. 반대로 말하자면 헤세에게 관심이 없거나 그의 책을 많이 읽지 않은 독자라면 조금 지루할 수도 있을 거 같다.  

 

진정으로 우리 시대에 대해 절망하고 혼돈을 두려워하는 작가는 많다.
그러나 혼돈 위에서 자기 자신을 지킬 정도로 믿음과 사랑에 충만한 작가는 드물다.  

ㅡ비평「내가 내 친구들에게 추천하는 책 두 권」. 1935년 1월. (126쪽.)

 

나는 시를 쓰려는 충동을 느끼는 모든 사람에게 그것을 계속해서 해나가고 진지하게 받아들이라고 충고합니다. 출판을 기대했다가는 대부분 실망하게 되므로 출판을 고려해서 쓰지 말고, 일상생활에서는 펼치지 못하는 영혼의 힘을 각성시키기 위해 시를 쓰십시오.

ㅡ카트린 그로스-탈몬에게 보낸 편지. 1956년 10월. (190쪽.)
 

 책장의 아무 곳이나 펴들고 꼭지 하나만 만나도 지루하지 않다. 쉽게 공감하는 글부터 생각을 요하는 글까지 나름의 느낌이 있기 때문이다. 예술은 영혼의 언어라는 부제처럼 나만의 예술로 표현되는 것이 무엇인지 돌아보았다. 누군가에게는 하루를 정리하는 일기가 될 수도 있고, 블로그에 올리는 짤막한 시 혹은 편지 등 수많은 형식이 있을 것이다. 영혼의 언어가 예술이라는 과정하에서 나의 언어는 얼마나 이루어졌나 자문해본다. 이 책을 자주 읽어 볼 거 같지는 않지만, 책장에서 빠끔히 고개를 내밀어 나를 쳐다보는 걸로도 즐거움을 줄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