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아가는 비둘기 똥구멍을 그리라굽쇼? - 디자인, 디자이닝, 디자이너의 보이지 않는 세계
홍동원 지음 / 동녘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분야에서 뼈를 묻을 각오로 일하며 즐기는 열정적인 사람을 볼 때면 자극을 받는다. 내게 미지의 분야 같은 디자인도 마찬가지로 미학적인 디자인과 실용적인 디자인 등 여러모로 생각해 보게 하는 그들의 힘이 좋다. 이 책 역시도 출판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아트 디렉터가 쓴 책이라 기대하며 읽기 시작했다. 저자 홍동원에 대해 잘 모르지만 읽으며 디자이너 홍동원뿐 아니라 그의 건전한 철학까지 배운 거 같아 즐거웠다.  

 <날아가는 비둘기 똥구멍을 그리라굽쇼?> 일단 제목부터 독자를 사로잡는다. 책을 읽기 전에 잠시 생각을 해보았다. 날아가는 비둘기의 똥구멍을 어찌 알겠는가. 멈춰 있어도 들여다보기 어려운 부분인 것을. 그러나 상상력을 요하는 질문이라면 얼마든 대답할 수 있을 거 같았다. 나름의 생각을 종합해서 말이다. 이런 실없는 생각을 하며 책장을 넘겨가면서 제목을 시나브로 잊어버리게 되었다. 디자인의 세계를 만나며 세상에는 얼마나 많은 것들이 디자인과 연계가 되어 있 지를 새삼 알게 되었다. 

 저자 스스로 말했듯 시각적인 글로 쉽게 읽을 수 있으며 삶에 스민 디자인을 의식 없이 지나쳤다면 그의 이야기를 통해 발견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원래도 디자인에 관심이 있었지만 어디까지나 관심뿐이었다. 그러다 책으로 새로운 사실을 알아가며 수많은 창조물 뒤에서 뼈 빠지게 일하는 그들의 노고가 느껴졌다.  

 I♥NY 이야기부터 한글, 자개장, 우리의 캐릭터, 달력, 아킨더스 나뭇잎 등 다채로운 이야기가 흥미롭다. 그러나 그보다 더 좋았던 것은 전문가의 노련한 시선 속에 담긴 그의 철학과 착한 마음이었다. 털털하고 열정으로 뭉친 저자는 모두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자신만의 세계로 뛰어들어 탑을 쌓았다. 그 탑을 간접적으로 들여다보게 되어 읽는 내내 신기했다. 이를테면 탄생 비화를 듣는 느낌이었다.

미신 타파한다고 무당을 동네에서 내몰던 우리가 지금 '해리포터'에 열광하는 것이 우스울 뿐이다. 무당은 부정하면서 마법사에 열광하는 사람들. 우리는 무엇인가 잘못 배워도 한참을 잘못 배웠다. (189쪽.) 

 우리의 것에서 가능성을 찾아냈지만 미신 타파와 근대화라는 구실로 사라져 간 것이 많다. 저자는 그것을 아쉬워하며 경계한다. 자개장도 일본에서 이미 디자인화시켰다는데 우리는 오래된 자개장의 보존은커녕 갖고 있는 종류도 미비하다 한다. 우리의 것인데도 말이다. 다른 나라에 밀리고 나서야 정신 차리는 경우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우리의 캐릭터 이야기 때 저자처럼 나도 일본만화를 보며 자랐고 그 캐릭터가 일본의 것이었다는 사실을 알았을 때의 기분은 겪은 사람들만이 알 것이다. 자본이 풍족하지 않아도 자유롭게 창작활동을 펼 수 있는 사회분위기가 중요한 거 같다. 사실 자본이 지원된다면 좋겠지만, 그보다 중요한 게 이들이 설 공간이다. 

 디자인의 역사가 짧은 우리나라에서 디자이이너로 살아가는 일은 고달프다. 앞부분에서 말한 제목 <날아가는 비둘기 똥구멍을 그리라굽쇼?>는 클라이언트 이야기 때 나온다.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게 창조가 들의 일이라지만 디자이너에게 요구하는 태도나 방식을 보며 어디나 직장생활은 간단하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다.  

 디자인은 우아하다?? 미학적인 디자인(ㅡ사실 심미적인 디자인도 보는 눈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생각한다.)만을 좋아한다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현실적이거나 추상적인 디자인이라도 당연히 그럴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안에 깃든 디자이너의 열정과 철학 등이 아닐까 한다. 이 부분을 놓치지 않고 생각해 본다면 외적으로 비대칭이거나 우스꽝스럽거나 혹은 단순해도 더는 그렇게 보이지 않을 것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은 고로 생각하는 만큼 얻어낸다는 사실과 같기 때문이다. 

 홍동원 디자이너의 글은 시원하면서도 즐겁다. 건축가 르꼬르뷔지가 디자인한 의자에 앉으면 붕 뜨는 거 같다고 했던가.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약간의 기분 좋은 붕 뜸을 느꼈다. 이것이 보이지 않는 세계를 만나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