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입은 봉황 선덕여왕
김용희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우리나라 최초의 여왕 선덕여왕. 그러나 최초라는 칭호에 걸맞게 내려진 정의는 다만 그뿐이었다. 이 타이틀 하나 이외에는 선덕여왕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고 관심도 적었다. 다른 왕들의 역사적 업적이나 개인적 일대기와 비교해 재조명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언제던가 이런 생각을 잠시 했던 적이 있었다.   

 저자 김용희는 이런 생각으로 끝나지 않고 선덕여왕의 가려진 일대기를 추적한다. 그 바탕에는 여자라는 이유로 평가절하된 배경도 한몫했음을 보며 예나 지금이나 아직도 가야 할 길이 멀었다는 생각이 든다. 김부식의 <삼국사기>와 일연의 <삼국유사>에서는 선덕여왕을 완전히 다르게 표현하고 있다 한다. 하나의 역사서만으로 평가할 수 없는 건 객관성에 있어 중요한 이유이다. 그러므로 저자는 두 개의 역사서 외에도 <화랑세기> 등 여러 자료를 확인하며 인용해서 이야기한다. 

 여자라 차별받는 일은 줄어든다지만 아직도 뿌리까지 뽑아내기 어렵다. 직장생활 등 사회생활을 하며 알게 모르게 박혀있는 일들이 허다하기 때문이다. 선덕여왕 시대에도 마찬가지였고 왕은 남자로만 이어져 왔기에 더욱 왕이 되기 어려웠을 터이다. 그런 과정을 이겨내고 여왕이 되었고 통치하며 역사의 이슬로 사라진 여왕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소설이 아니어도 흥미롭다. 사실 내게는 소설로 먼저 읽었던 선덕여왕보다 훨씬 재미있었다.  

 선덕여왕 재위기간에는 민중의 봉기도 없었고 설화가 수없이 많으며 지금까지 전해진다는 사실에서 저자는 여왕의 통치능력에 대해 말한다. 불교를 장려하며 그쪽에만 매달렸다거나 통치능력이 부족했다는 평가를 뒤엎는 증거를 찾아 독자에게 판단하게 한다. 이런 과정에서 당시의 유적, 유물을 만나며 별 관심없이 대했던 상태에서 벗어나 각각의 의미를 만나게 되었다. 첨성대, 석탑 등이 이제는 교과서에서 벗어나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각 인물의 관계도나 선덕여왕의 초상화 등도 볼 수 있지만 무엇보다 좋았던 건 사료 글 인용이었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을 읽지 않고도 저자의 노력으로 우리는 편하게 지켜보기만 하면 된다. 요즘 선덕여왕 열풍이라고 할 만큼 관련 책이 나오고 있으며 드라마로도 반영되지만 대부분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져 역사와는 다르게 진행되기도 하며 흥미만을 채워주기도 한다. 그것이 나쁘다는 건 아니다. 그 덕분에 얻는 게 많기 때문으로 더 많은 사람이 선덕여왕에 대해 궁금해할 것이기 때문이다. 모든 것에 일장일단이 있듯 이 책의 객관성도 마찬가지이다. 소설은 아니지만, 저자도 역시 비밀에 가린 여왕의 일대기를 사료들로 추정하기에 100% 확실할 수 없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겠다. 곧 저자의 주관적 생각을 객관화시켜 보여주지만, 사료가 충분하지 않아 더 지켜봐야 할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이다. 

 불교를 장려한 까닭이 왕권강화를 위함이라는 것은 학교에서 배웠지만 왜 불교강화가 왕권강화로 이어지는지의 연계성은 사실 배우지 않고 외웠을 뿐이었다. 이 책을 통해 불교강화와 절터 그리고 경제 등의 다양한 이야기의 전개를 통해 결국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수 있었다. 후반으로 갈수록 당시 신라의 국제적 상황, 백성의 삶, 서양문물 등 다방면에 대해 알 수 있어 즐거웠다. 저자의 생각처럼 선덕여왕과 진덕여왕, 김유신의 관계를 새롭게 조명해보게 된 것도 소득이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말처럼 하나의 사실로 규정지어졌을 때가 어쩌면 가장 위험한지도 모른다. 의심 없이 받아들이기만 한다면 진실을 알 수 없기 때문인데 이런 시도를 한 저자에게 박수를 보낸다. 모든 역사서가 이래서 꼭 한 번쯤 읽어야할 필요가 있는 거 같다. 많이 읽지 못했는데 선덕여왕을 계기로 관심을 둬야 겠다.  

 소설로 나온 선덕여왕의 책, 반영 중인 드라마 등과 비교하며 읽으면 더욱 재미있을 책이다. 물론 무엇이 진실인지 가려내려는 마음도 가지고 있어야겠다. 허구가 많이 가미된 장르를 역사적 진실로 오해해선 안된다는 말이다. 저자의 주장을 충분히 이해했지만 그래도 약간의 아쉬움은 남았다. 책을 더 두껍게 만들어 진행했어도 좋았을 걸 하는 생각 그리고 이런 저자의 의견에 대해 찬성하는 의견이나 반대하는 의견도 함께 실려도 좋을 거 같다. 일방적으로 듣기보단 대화가 오가는 생생한 토론 분위기가 더 재미있으니까. 그러나 역시 사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은 누군가를 쫓는 열정을 높이 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