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서양 음악사
오카다 아케오 지음, 이진주 옮김 / 삼양미디어 / 200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날 어머니가 들려주는 음악 중 기억에 남는 게 있다. 피아노 소품곡들과 팝송이었는데 특히나 클래식 음악은 언제나 잔잔하고 듣기 좋아서 마음이 편해지고는 했다. 그래서 야영 가는 날에도 테이프를 들고 가서 카세트에 넣어 듣다가 망가뜨리기도 했었다. 이제는 테이프를 들을 일이 없지만, 가끔 그때 생각이 나고는 한다. 
 
 이처럼 친숙한 클래식이지만 제대로 들어본 적은 없다. 베토벤을 좋아하면서도 말이다. 중구난방 그저 우울할 때는 바로크 음악을 찾아 듣고 아니면 베토벤의 곡들이었다. 그러다 클래식을 제대로 들어야겠다고 생각한 계기가 있는데 재미있게도 록음악 때문이었다. 다양한 록의 장르를 여러 개 탐방하면서 아트락을 만났는데 모든 음악과의 크로스오버를 시도하는 전위적인 음악이 마음을 휘어잡았다. 그때 클래식을 본격적으로 들어야겠다는 생각을 처음 했던 거 같다. 그래서 서점에 가면 두껍고 비싼 클래식 책을 탐독하고는 했지만 따분하거나 전문적이었다. 그래서 듣고 싶은 부분만 읽고는 했다.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서양 음악사>는 서양 음악사를 한 권에 담았다. 그것도 별로 두껍지 않으며 CD도 준다. 물론 귀에 익은 곡들뿐이라 조금 실망했지만 그래도 좋았다. 여러 페이지에 걸친 머리말을 읽으며 저자의 의도와 고집이 느껴진다고나 할까. 이 책은 '음악사'이면서 '음악을 듣는 법'에 대한 가이드라고 할 수 있다는 말은 과연 적중했다. 보통은 객관성과 이론에 치우친 나머지 활력을 잃어버리는 단점이 드러나는데 저자는 이 부분을 지양하며 썼던 것이다.  

 더구나 음악에 관한 다양한 삽화가 수록되어 있어서 즐겁고 다채롭게 읽을 수 있어 전혀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었다. 책을 잡고 손에서 놓지 않고 읽어버렸다. 그만큼 가독성도 좋고 독자에게 편하게 다가오는 책이다. 종교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음악은 특히 서양음악사의 주요 뿌리인 단선율의 그레고리오 성가 이야기부터 시작한다. 중세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알려주며 그럴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알려준다. 음악이 대수, 기하학, 천문학 등과 함께 고등한 수학적 학문으로 분류(44쪽.)되었다는 것부터 생상스의 죽음의 무도에 대한 이야기까지 나온다. 김연아 선수가 선택한 음악이었기에 죽음의 무도는 이제 학생들에게까지도 유명해졌다. 십자군 실패의 반복과 교회의 타락 그리고 페스트 때문에 중세는 대혼란의 시대였고 그런 분위기로 죽음의 무도라는 시가 인기가 있었다고 한다. 이를 절대음감자 생상스가 곡을 쓴 거였다.  

 계속 이어지는 르네상스 이야기를 통하여 음악뿐 아니라 당시 사회의 미술, 종교 등과의 연계성까지 두루 돌아볼 수 있어서 교양서로 안성맞춤이었다. 예전에 읽은 <르네상스의 비밀>이나 <보티첼리> 같은 책을 떠올리며 확장이 되었다. 조금씩 나오는 에피소드도 재미있었으며 내가 좋아하는 바로크 시대의 바흐에 대한 부분도 즐겁게 읽었다. 다음으로, 이어지는 고전파 베토벤(사랑하는 베토벤 선생~!) 부분만큼 신나게 읽었으니 말이다. 그리고 혼자만의 놀이도 함께했다. 베토벤의 제자 체르니 그리고 체르니의 제자 리스트. 친근한 이름의 예술가 관계도 연결짓기 놀이! 니체와 친구인 바그너 등 서로 이어지는 관계가 언급될 때마다 구체적인 내용까지 알고 싶어졌다. 욕심은 끝이 없나 보다. 지루하고 복잡하면 그렇다고 불만인데 이렇듯 쉽고 간결하게 지나가니 더 알고 싶다고 보채고 있다. 19세기 스트라빈스키와 20세기의 글렌 굴드까지 한 권에 이렇듯 줄줄이 묶인 대어들을 먹은 셈이다. 그 맛 또한 좋았다.   

 한 권으로 끝나는 서양 음악사는 초보자에게 추천하고 싶기도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이 책의 장점은 친근함이다. 저자의 각오와 노력이 이뤄낸 결실을 오롯하게 받아들일 수 있으니 즐겁기 그지없다. 영국은 셰익스피어를 위대하게 만들었고, 독일은 바흐를 위대하게 만들었다. 우리는 무엇을 그리할 수 있으려나. 갑자기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