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오 금학도 - 이외수 오감소설 '신비'편
이외수 지음 / 해냄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예전에 한참 이외수의 책들을 찾아 읽었다. 이 작가가 마음에 들었던 건 문명을 비판하는 동시에 즐길 줄 안다는 이유 때문이다. 언제던가 디카의 매력에 빠져 셀카를 찍어서 인터넷에 뜬 노(老)작가의 사진을 본 기억이 난다. 그의 작품에는 치열함과 유모, 감성 등이 가득 들어찼다. 물론 빼놓을 수 없는 것으로 그만의 글솜씨를 꼽을 수 있겠다. 천상 글쟁이라 느껴지는 이야기꾼이자 이 시대의 독특한 소설가라고 부르고 싶다.  
 그러다 아마도 <장외인간>을 끝으로 이후의 책은 <글쓰기의 공중부양>을 제외하고는 읽지 않았던 거 같다. 천상 글쟁이의 글쓰기 비법 책이니 궁금한 것은 당연했으니까. 물론 조금 싱겁기는 했지만, 부단한 노력만이 글쓰기의 내공을 올려줄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가장 최신작으로 아는 <하악하악>도 고민하다 아직 읽지 않았다. 그러다 우연하게 다시 그의 책을 읽게 된 것은 도련님 때문이었다. 이외수 작가의 열혈독자로 감성마을도 가고 작가도 만나는 그런 문학청년인데 그의 책장에는 이외수의 책이 언제나 가장 좋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만날 때면 가끔 이외수의 책들 이야기를 하며 뒤적이는데 다시 읽고 싶어졌다. 차일피일 미루고 있었는데 도련님이 이책저책 자꾸만 권한다. 절판된 책에서 구하지 못한 게 있어서 아직도 찾는 책도 있다고 한다. 다음에 신간이 나오면 꼭 선물해야겠다. 
 서론이 길었는데 각설하고, 이외수의 대표작으로 <벽오금학도>를 주저 없이 말하는 독자가 많을 것이고 나 역시 그렇다. 물론 작가도 가장 추천하고픈 책이라고 말했었다. 왜일까. 읽어본 이라면 알겠지만, 아직 이외수의 책을 만나지 않았다면 이렇게 이야기해주고 싶다. 그의 철학과 사상이 응집된 책이라고. 방송이나 인터넷에서도 잘 알려진 기인의 이미지처럼 이 책에는 선계, 동양철학 등의 이야기를 어렵지 않게 엿볼 수 있다. 제목이 주는 딱딱함이나 다소 이질적인 느낌 때문에 읽지 않았다면 반드시 읽어보길 권한다. 
 제목의 벽오금학도란 주인공 강은백이 어릴 때 선계에 갔다가 받은 그림으로 이후 줄곧 갖고 다닌다. 그것은 선계로 돌아갈 중요길잡이이자 화두이다. 외국의 환상소설과 비교해도 손색없는 우리 고유의 환상소설을 작가는 천연덕스럽게 들려준다. 선계 즉 유토피아로 꿈꾸는 세계로 귀환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한 치 앞도 내다볼 여유가 없는 현대인에게는 다소 허황한 이야기로 비치기도 한다. 과연 그렇게 저쪽 세계로 가버리면 행복할 것인지. 그리고 지금 이곳의 모든 것을 포기할 수 있을 것인지도 의문일 것이다. 포기와 비워냄이 분명히 다르듯이 선택은 자신에게 달렸다. 강은백처럼 모든 것을 비워내고 모든 것과 합일할 수 있는 마음(책에서는 이른 편재遍在라 부른다.)을 얻었다면 그는 우주일 수도, 돌멩이나 혹은 바람이 될 수도 있겠지만 자포자기한 사람은 어디에서건, 무엇으로건 편재할 수 없으며 행복할 수도 없을 것이다.  
 다시 선계의 이야기를 꺼내지 않을 수 없는데 선조들은 과거에 도인 혹은 신선이 사는 나라에 관한 이야기를 좋아했다. 궁핍하게도 살기가 어려웠으니 그런 지상낙원을 동경하는 마음이 컸을 테고 그래서 전해지는 이야기에 여러 가지 살을 덧붙여 다시 또 구전되었을 것이다. 작가 이외수가 선계에 관심이 많은 이유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물질문명이 주는 편리함은 기꺼이 즐길 수 있지만 정신문명까지 서구화되어 계승되던 정신이 흩어지면서 사회는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이 모든 것을 마음을 바로 세우지 않았기 때문으로 본 것이다. 그래서 작가는 선계를 동경하면서 동시에 물질만능주의 사회를 비판한다. 자신을 질책하며 독자를 질책하는 것이다. 세상을 구원하는 거대한 이야기보다 스스로 구원하는 이야기에 중점을 둔다.
 작품에 등장하는 여러 인물의 연관성을 마지막에 들려주며 시종일관 이야기는 물질주의 비판을 들춰내지만 지루함 없이 읽을 수 있는 이유는 위에서도 언급했듯 신비로운 선계 이야기와 그에 못지않은 등장인물들 때문이다. 그리고 작가는 만물박사처럼 자료조사를 통한 흥미로운 것들을 알려주어서 쏠쏠한 재미를 준다. 예로 백발현상 등을 들 수 있겠다. <장외인간>과 비슷한 느낌이지만 이 소설은 <장외인간>보다 10년도 더 전에 쓴 책이다. 그런데도 오히려 후에 쓴 책이 따라잡지 못한다. 그래서 <장외인간>을 읽었을 때 재미는 있었으되 감동이 없다는 실망감에 작가의 책을 더는 읽지 않았던 것 같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견해이니 <벽오금학도><장외인간>을 함께 읽어보고 판단하기를 바란다. 그리고 또 하나 가독성이 좋다는 이유만으로 가볍게만 여기고 지나치지 않기도 당부한다. 내게는 한 작가의 사상이 응집된 책을 그저 지나치는 책읽기로 끝내기보다 한 번쯤은 조용히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는 게 예의가 아닐까 싶었다. 다시 읽기를 잘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