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나이 서른하나
야마모토 후미오 지음, 이선희 옮김 / 창해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른 하나에 나는 무엇을 했던가. 얼마 전인 거 같은데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 서른이 되기 전에는 김광석의 <서른즈음에>를 들으며 미래의 나를 생각하고는 했는데 막상 그 나이가 되어서는 어떻게 지나갔는지도 모르더니, 지나고 나니 새삼 돌아볼 여유조차 없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렇게 말하고 나니 참 서글프다는 생각도 들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쪽이 내 의견이다. 청춘의 20대가 지났어도 여전히 나는 조금도 주저 없이 지금이 좋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30대에 들어서서야 삶이 한층 무르익는다는 느낌을 받아서일까. 현실과 이상의 차이를 깨닫고 거기서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새로운 방법을 찾아 제대로 펼쳐보려는 시도를 멈추지 않는다. 게다가 조금은 냉소적인 덤덤함까지 덧붙어 까짓 거 아니면 말고라는 식으로 자기 위안을 삼으며 크게 절망하않게 되었다. 현실을 꿰뚫어보는 안목은 여전히 배워야겠지만 그럼에도 열정은 식지 않는다는 것 또한 현실의 나이기에 앞으로 나이를 먹어가면서도 삶의 각 시기를 온몸으로 맞고 싶다. 그나저나 서른이 넘어서면서 나이를 자꾸 잊어버려서 큰일이다. 가끔 누가 물으면 한 번에 대답이 나오지 않고 잠시 우물거리는 모양을 낯선 나이 탓으로 돌린다. 행복과 절망이 골고루 들어 있는 종합선물인 삶이 마냥 신기할 뿐이지만, 가장 행복해 보이는 이들의 얼굴에는 순간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는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기에 닮고자 한다. 잠시 떠올려 보자니 나의 서른 하나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공허하고 낯설었던 차갑던 겨울날들이다. 그렇게 시린 겨울은 별로 없었던 거 같지만 그다지 나쁘지 않다. 

작가의 이름과 제목만 보고 여성작가가 쓴 서른 하나의 여자 이야기라고 멋대로 생각했었다. 책나눔을 받고 쌓아두기만 했던 책 중 한 권을 몸이 한참 아파 병원 다니면서 읽기 시작했다. 병원의자에서 내가 할 일이란 무언가 읽을 책이 필요하다는 것뿐이었으니까. 가방에 넣고 다니면서 한 장씩 읽던 것을 어느 모조리 읽어버렸다. 

 일단, 서른 하나라는 나이에 선 사람들(-그러니까 남녀 모두.)의 다양한 모습을 서른한편의 작품으로 구성했다. 이들에게는 각자의 사연이 있고 생활방식이 있으며 또한 무언가 소중한 것이 하나씩 있다. 그것이 목욕, 사랑, 소설 등의 여러 가지로 나뉘는데 짤막한 이야기지만 우리와 다르지 않아 흥미롭다. 일과 일본 특유의 무심한듯한 담담함으로 버무린 글은 골치 아픈 생각을 접게 한다. 처음에는 매 편 다른 인물과 이야기에 조금은 물리기도 했는데 이들 속에 나도 포함되어 있지는 않을지 책장을 덮고 난 후야 자꾸 생각나게 했다.

 피터팬처럼 나이 먹기 싫었던 때도 있었는데 어느덧 나이 먹는 것을 즐기게 되었나 싶다. 올해도 얼마 남지 않았는데 새해가 오면 나이를 또 한 살 먹는 게 아니라 잊어버릴 거 같다. 그러나 나이를 헤아리는 건 잊어도 살아간다는 사실은 잊고 싶지 않다. 

"난 이제 막 서른을 넘긴 여자가 좋아. 더 이상 방황하지 않고, 나름대로 확고한 가치관도 가지고 있고, 그러면서도 새로 시작할 수 있고. 얼마든지 다시 시작할 수 있는 나이잖아." 

(본문 28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