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념의 마력
클로드 브리스톨 지음, 최염순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예전에 오래된 아버지의 책으로 읽었던 <신념의 마력>은 낡고 교정된 흔적이 남은 책이었다. 그렇지만
그 안에 담긴 내용은 기대 없었던 내게 많은 의미를 주었다. 그래서 제대로 된 책으로 읽어야겠다고 생
각했었는데 그런 마음을 알았는지 마침 읽을 기회가 왔다. 이것도 저자의 표현대로라면 믿음의 힘일지
도 모르겠다. 이 책을 읽지 않았거나 혹은 신념의 마력을 아직 인정하지 않는 이라면 그저 우연일 뿐이
라 말할 것이다. 비단 이뿐만이 아니라 살아가면서 마주치는 일 중에서 예를 찾아도 많을 것이다.
오래전 친구 한 명이 내게 그랬다. '너무 네 위주로 생각하는 거 아냐? 그저 우연일 뿐이라고.'그때는 내가 이 책을 만나기 전이라 친구의 말을 받아칠 만한 대답을 주진 못한 거 같다. 그저 웃어보였
던 게 전부였으니까. 그러나 이후로 시간이 갈수록 마음의 중요성을 깨달아 갔다. 다큐멘터리 <마음>
을 보면서도 많은 공감을 했으니 말이다.
책의 명성은 가끔은 책읽기 하는데 방해가 된다. 수식어들로 기대감이 커지기도 하고 한 겹의 얇지만
이름모를 거부감도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가 묻는다면 내게 참 좋았던 책이라고 앞으로도 몇 번 읽
어볼 책이 <신념의 마력>이라고 자신 있게 대답할 것이다.
전반부가 다소 지루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검증되지 않은 부분으로 남은 잠재의식을 이야기하기에는
약간의 설명이 필요했음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곧 읽을수록 빠져든다. 뿌리 깊은 종교처럼 자신의 모
든 것을 다하는 마음, 주술, 마법 혹은 혼잣말로 되새기는 말(자기암시) 등으로 불리는 수많은 이름이
결국은 신념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 모두 이미 경험했다는 사실이며 이를 앞으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꾸
준하게 실천하면 된다는 점이었다.
학창시절 엄마는 늘 말씀하셨다. 마음만 단단하게 먹는다면 알람 같은 것은 필요하지 않다고. 왜냐하면
저절로 그 시간에 알아서 몸과 마음이 눈을 뜰 것이라고. 그때는 엄마 말씀이 야속했다. 잠이 부족했고
나를 깨워줄 알람이 필요했던 것이다. 그러나 살면서 중요한 약속을 앞둔 날 알람을 깜박하고 잠들어도
저절로 눈 뜬 아침이 한 두 번이 아니었던 것이다. 이렇듯 신념이란 누구에게나 존재한다.
후반부로 갈수록 본격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투사하는 방법 등이 소개되며 여러 사람의 성공적인 예
도 가득하다. 꼭 돈을 많이 벌기 위해서 필요한 게 아니라 원하는 삶을 그려가며 현실로 진행시킬 수 있
다는 사실이 매력적이다. 필요한 것은 오직 믿는다는 사실이다. 물론 행동 없는 믿음은 뜬구름 잡기라
는 사실도 염두에 둬야겠다.
올해의 마지막 날까지 읽은 책, 그리고 새해를 맞는 시점에서 책장은 덮었지만 내 마음의 신념은 내내
덮지 않을 것이라 다짐했다. 빈 메모지를 들고 차분히 앉아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생각해서 써보고 그
를 이루고자 노력해야겠다. 나는, 신념의 마력을 믿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