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게으름뱅이
외르크 페터 슈뢰더 지음, 배진아 옮김 / 더난출판사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학생일 때가 좋았다는 생각은 사회인이 되어 실감하는 말이다. 회사라는 공간은 더 넓고 사람들과의 부
딪침이 본격화되는 곳이며 또한 자아개발과 일 사이에서 고민하는 영역이다. 흔히 말하는 성공 혹은 돈
때문에 바득바득 참고, 스트레스받는 곳 또한 이곳으로 하루 중 많은 부분을 보내는 곳이니 중요한 공
간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어차피 해야 할 일인데 보다 능률적이고 즐겁게 할 수는 없을까.


성공한 인생을 산다는 것은 성공한다는 것과 다르다. 자신에게 충실하고, 진실하게 행동하며, 자신에게
어울리는 일을 하는 가운데 무언가를 이루어내는 사람,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는
사람이야말로 진정 성공적인 인생을 사는 사람이다. (9~10쪽. 머리말中)



 저자의 말처럼 성공에 대한 개념부터 잡아보는 게 중요하다. 사람마다 생각하는 성공은 분명히 다르다.
그러나 자신이 믿는 성공이 아닌 타인이 바라는 성공을 하려고 노력하거나 따라간다는 것은 어불성설
일 것이다. 보편화 된 성공이 물론 나쁘다는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본질을 꿰뚫어 볼 안목이 더 중요하
지는 않을까. 즉, 자신이 바로 서야 직장생활에서도 흔들림 없이 공존할 것이다.

 책에서 노동시장의 4가지 인간형을 단순화시켜 네 가지로 나누어 소개한다. 일중독자인 알파형, 헌신
적인 베타형, 파괴적인 방해꾼 델타형 그리고 행복한 게으름뱅이 오메가형.
나는 일중독자 알파형이었
음을 기억한다. 직장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건 불편한 일이었다. 그래서 바지런히 일을 찾아 하고
는 했다. 오너의 입장에서는 좋았을지 모르지만 돌아보건대 내게는 그렇지 않았다. 피곤하기만 했던 것
이다. 그래서 적당히 일하더라도 일에 차질없이 또 여유있게 일하는 행복한 게으름뱅이(이하 오메가형)
로 조심스럽게 변모하려던 시기도 기억난다. 책에서 말하는 오메가형을 더 빨리 각성했다면 좋았겠지
만 앞으로 살아가면서 어디서건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니 위안이 되었다.


당신이 어디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든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당신 스스로 그 일을 원했기 때문에 그 일을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당신은 그 점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다른 누구도 아닌, 바로 당신
스스로가 선택하고 결정한 일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52쪽)



 뉴스나 회사에서 스트레스나 과로사 등의 이야기를 듣는다. 그들은 왜 그래야만 했을까. 육체적, 정신
적 건강을 해쳐가며 일한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물론 자신이 원해서 그럴 경우도 있지만 회사
의 암묵적 동의도 있었을 것이다. 저자는 이를 경계하라고 한다. 내 일이 아닌 것을 전달받으면 아니오
라는 결단 있는 대답을 확실하게 하라는 말이다. 이미 습관이 되어 어렵겠지만 지금 바꾸지 않으면 앞
으로도 그럴 테니까. 먼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인식하고 그를 위해 행동한다는 것은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


항상 너 자신에게 물어라.
'진정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면 다른 중요한 의문들은 저절로 풀릴 것이다. (89쪽. 샘 킨의 말 인용.)



 스스로 정한 기대치로 실패하면 남을 탓하는 오류를 범하지 말며 소중한 자신을 명상을 통해 알라던 말
이 인상적이다.
목숨 걸고 일만 하고 앉아있다가 몸과 마음을 황폐하게 내던지지 말아야 한다. 저자가
줄기차게 말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적절한 예들에서 강요가 아닌 삶의 방식을 전해들었다. 또한, 글
도 부담 없어서 편하게 읽은 책이다. 오메가형인 행복한 게으름뱅이가 된다는 것은 능력을 적절하게 사
용하면서 자신을 사랑하라는 것이었다. 기존의 땀 흘린 만큼 성공한다는 말보다 꼭 흘려야 할 땀만큼을
적절한 곳에 흘려야 성공한다는 사실! 더욱 능률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기에 충분한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