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흐를 만나다
빈센트 반 고흐 그림, 메릴린 챈들러 맥엔타이어 시, 문지혁 옮김, 노경실 글 / 가치창조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좋아하는 그림이나 화가를 물으면 주저 없이 맨 처음 튀어나오는 이름이 고흐다. 비단 나뿐만이 아닐만
큼 고흐의 작품은 많은 이들의 가슴 속에 살아있다. 열정적인 삶을 살다간 이 외로운 사나이의 이야기
와 작품세계가 끊임없이 회자되는 이유는 그의 작품 속에 답이 들어 있을 것이다. 이런 관심에 힘입어
고흐의 책은 지속적으로 출간된다. 올해도 두 권을 찾아 읽었을 만큼. 그리고 올해의 끝 달을 장식할 고
흐의 책이 지금부터 이야기할 <고흐를 만나다>이다.

 고흐의 작품에 시를 붙이면 어떻게 될까. 틀림없이 아름다울 테지. 기대에 맞게 고흐를 향한 시인의 마
음 또한 뜨겁다. 외국 작가의 시, 그리고 우리 작가의 글. 이들이 전하는 고흐의 이야기가 주내용이다.
거기에 고흐의 편지글도 함께한다. 대체로 내용은 간단하며 작품도 22점이 실려있다. 지금까지 만난 고
흐책 가운데 비교적 얇으며 편집도 간단명료하고 색감이 선명하고 예쁘다. 장점으로는 고흐의 붓터치
를 보다 생생하게 느낄 수 있게 작품의 일부를 또렷하게 확대해 실었다는 점이다.
그래서 자꾸만 쳐다
보고 만져보게끔 한다. 자화상에서 마주친 그의 눈동자를 놓칠 수가 없다. 그러나 지극히 주관적이라는
사실이 단점이라 할 수 있다. 글을 쓴 이들에게 있어서 고흐를 향한 그들의 마음이 느껴지지만 내 마음
조차 녹아들기에는 다소 공간이 있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고흐의 내면에 한층 다가갈 수 있기에 고흐와
차 한 잔을 나누는 느낌으로 빠져들 수 있어서 소장가치는 충분하다. 객관적인 책을 원한다면 이미 나
와있는 책 중에서 찾아보길 바란다. 사실 주관적이건 객관적이건 그런 건 중요하지 않다. 고흐의 그림
을 좋아한다면 누구라도 빠져들 만한 책이니까.

 그의 붓터치는 하나의 흐름이다. 한곳에 응집된 에너지일 때도, 반대로 흘러가는 중일 때도 있다.
열정이 가득 들어찬 느낌을 아직도 기억하는 작품은 <별이 빛나는 밤, The Starry Night>에였다. 이 작
품을 처음 본 날을 잊을 수 없다. 기록적인 의미에서의 날짜는 잊어도 그 순간은 멈춰진 느낌인데 하나
의 경이로운 세계와 만나는 기분이었다. 별의 흐름이 고흐에게는 보였구나. 그는 자연을, 우주를 품에
담았다는 생각. 한동안 잠들 때마다 이 작품을 눈을 감고 떠올렸다. 내 안의 숨어있는 별을 찾듯 말이
다. 어떤 의미에서는 고흐가 매일 밤 내게 별을 달아준 것이었다. 그의 작품으로 고흐의 세계와 만난
값진 기쁨을 잊을 수 없다.


어제는 성당이 보이는 곳으로 갔다. 나는 그곳에서 성당을 보며 약간의 습작을 하고 돌아왔다. 하지만
성당보다는 사람의 눈을 그리는 게 좋다. 사람의 눈은, 그 아무리 장엄하고 인상적인 성당도 가질 수
없는 매력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성당보다 사람의 영혼이 더 흥미롭다. (31쪽. 고흐의 편지글.)



 고흐의 모든 작품을 실을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래도 알려진 작품들과 그렇지 않은 작품들이 두루 실
렸다. 해바라기는 단 하나도 실리지 않았어도 <연인이 있는 관목 풍경, Undergrowth With Two
Figures>
등의 고즈넉하고 편안한 작품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고흐 선생과 만나러 가는 길은 늘 즐거우면서도 한편으론 숙연해진다. 그저 예쁜 아이리스라고만 생각
할 수 없는 이유는 그 강인한 생명력을 닮은 고흐의 모습이 겹치기 때문일 것이다. 누군가의 창조물에
서 간접적으로 느끼는 타들어가는 심장, 외로움, 평화는 오감을 자극한다. 그 덕분에 위로받으니 어찌
마음의 벗 삼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그네 2007-12-16 00:58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詩 이 시가 옳은거 같아요... 時 (때 시잖아요....)

은비뫼 2007-12-16 02:10   좋아요 0 | URL
그러네요, 정말. ^^ 지적 감사합니다.
제가 확인도 안하고 올렸네요.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