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문명과 지식의 진화사 - 파피루스에서 e-북, 그리고 그 이후
니콜 하워드 지음, 송대범 옮김 / 플래닛미디어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책읽기를 좋아하는 이라면 누구나 책의 역사가 궁금할 것이다.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기라도 하듯 이 책
은 제목에서 모든 것을 말한다. '책, 문명과 지식의 진화사' 정말 잘 지었다.

 인류문명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역사 등을 비롯해 많은 것이 책을 통해 전해졌다. 그러나 그 책이란 것의
역사는 다른 것에 비해 정작 자료가 적다고 생각된다. 이 글의 저자는 상당히 많은 참고자료를 통해 책
의 모든 것을 말한다. 재료인 파피루스, 소가죽부터 인쇄술, 미래의 오디오북, e-북까지 나온다.

 처음에는 지루할 거로 생각했는데 읽다 보니 가속도가 붙었다. 읽을수록 빨려드는 매력은 책의 활자가
나를 잡아끈 것이 분명하다. 옛날에는 교회의 성직자들이나 책을 볼 수 있었는데 그때 태어나지 않은
게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대중에게 전해지고 지금은 누구나 책을 읽고 또 쓸 수도 있는 시대니까.

 책이 인쇄되어 나오기까지의 수고를 돌아보면서 그 속에 담긴 많은 사람의 지식과 땀의 결실을 온라인
주문 하나로 받아서 넙죽넙죽 넘겨보는 게 미안했다. 직접경험이 아닌 간접경험은 대부분 책을 통해
배워왔다. 공부할 때도 무언가의 지식에 목마르면 단연코 책이 우선이었으니까.

 그런 책이 루터의 95개조 반박문의 개혁을 빠르고 광범위하게 퍼뜨린 도구였다는 것. 인쇄기가 없었다
면 종교개혁은 그렇게 크게 번지지 못했을 것이란 말도 과연 일리가 있다. 사람은 언어를 만들고 그 언
어를 듣기만 해서는 기억의 한계가 있으니 그래서 기록하고자 책을 만들었다.

 그리고 손으로 쓰던 것에서 벗어나 인쇄라는 획기적인 것을 발견했다. 특히나 전문분야인 수학이나 과
학, 의학 등에서 얼마나 큰 도움이 되었을지는 뻔하다. 이렇듯 이 책에서는 책의 역사가 차근차근 설명
되어 있다.

 그 진화는 아직도 진행형이며 현재는 오디오북, e-북까지도 나와있다. 오디오북은 사용해 본 적이 없지
만 나이가 들어 더는 책읽기가 힘들어질 때 이용해 보고 싶다. 아이 교육에도 어느 정도 활용하면 괜찮
을 거 같다. e-북은 가끔 지루할 때 사무실에서 이용했는데 눈이 아프다는 거 빼고는 괜찮았다. 지금 읽
는 책을 완전하게 대체하진 않을 거 같다. 여러 방편이 있고 자신이 선택하는 것일 뿐. 물론 미래의 책
이 어떻게 될지 장담할 수는 없다. 나 또한 내가 원하는 것을 선택할 테니까. e-북의 경우는 나무를 원
료로 사용하지 않으니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아직 보완해야 할 것이 남았다. 그러고 나면 더
대중화 되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인상적이던 글이 읽어 옮겨본다. '페이퍼백 혁명 현상'에 대해 논평한 글이다.

대중의 독서 습관의 이런 혁명이, 앞으로 우리 출판계가 대중의 기호를 더 타락시키는 쓰레기의 홍수로
범람하게 된다는 의미인지 아니면 저가 고전을 더 많이 갖게 된다는 의미인지는 우리 사회와 문화의 발
달에 근본적으로 중요한 문제다.

ㅡ 267쪽, 제6장 미래의 책中 1951년 미국 소설가 하비 스와도스의 말.



 당시 대중은 페이퍼백이란 기막히게 휴대하기 편리하고도 싼 책에 많은 관심을 보였고 실제로 들고 다
녔다. 그런 폭발적 관심에 걱정되어 내심 말한 내용인데 지금 같으면 고민거리도 아닐 문제다. 그러나
어쩌면 출판사들은 아직도 고민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독자들은 다양한 출판의 홍수 속
에서도 길을 잃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부가 마케팅만을 믿고 책을 구매하지도 않으며 베스트셀러만을
찾지도 않는다. 그만큼 독자도 세분화되고 있으니까. 그러니 결국 독자를 알아야 살아남을 것이다.

 잠시 이야기가 딴 길로 샜는데 각설하고 이 책은 나처럼 책에 욕심 없는 이에게도 소장할 가치가 있었
다. 단, 서양의 서체 이야기는 조금 낯설었다. 도무지 내가 알 수 없는 서체라 호기심이 일었던 것이다.
물론 책에는 옮긴이가 각주를 달아서 풀어둔 부분도 있어 꽤 도움이 되기는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