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겨레에 연재하던 소설이 책으로 나왔다. 연재 때도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고 하는데 나와 만난
이 책의 첫 느낌은 묘했다. 책표지 소녀의 눈빛이 예사롭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책을 읽고
나서 다시 보니 정말로 잘 어울리는 그림이었다. 주인공 바리와 배경까지 작가가 의도한대로 만
들어졌다는 느낌이다.

 황석영 작가의 글이야 알려진대로 맛깔난 것은 이미 알고 있었다. 글에서 뿜어져 나오는 원숙미는 책을
빠르게 넘기게 했다. 그러나 그뿐 아니라 내용도 흥미로웠기에 그야말로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
그러나 책장을 덮은 순간 생각이 쉽게 정리되지 않았다. 작가가 준 숙제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잠시 홀
렸던 것일지도 모르겠다.

 설화를 바탕으로 한 바리데기는 바리의 태어남, 집안 이야기 등을 비롯해 바리의 나라 북한과 중국, 런
던순으로 옮겨간다. 우리는 결코 상상할 수 조차 없는 가난한 북한생활에서 중국으로 또 장시간 배를
타고 런던이란 공간에서의 생활모습이 숨 가쁘게 펼쳐진다.

 그리고 가족의 유대는 영원할 것만 같았으나 이들은 긴 이별을 하고 이어지는 또 다른 만남과 이별이
계속된다. 마치 우리네 모습과 다를 바 없이 말이다. 남한과 북한의 긴 이별은 언제야 끝이 나고 말 것
인지 모르겠다. 역시 황석영은 이를 놓치지 않고 보여준다.

 여기서 주목할만한 것은 바리공주가 아닌 바리데기이다. 부엌데기 등으로 쓰는 그 데기라는 말에서 작
가는 특정신분의 공주가 아닌 대다수 우리로 다가서도록 하려는 의도 같다고 생각했다. 물론 바리는
서양의 영매처럼 죽은자와 산자를 이어주며 흔히 말하는 신기가 있는 인물이다. 그것은 인물의 특징이
며 설화와 일맥상통한다. 그래서인지 여러 장면의 묘사에서 보이는 작가의 문체는 환상적이었다. 황
석영은 이 시대의 문제는 물론 과거의 문제까지 ㅡ 서로 이어져 있으니 당연하겠지만 ㅡ 다루는 작가이
며 이미 다른 작품에서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니 한국의 작가명에서 빠지지 않을 수밖에.

 그래서 그 환상의 필체는 마치 한 편의 잘 짜인 판소리를 감상하는 느낌을 주었다. 바리를 통해 끈질기
게 작가가 따라간 시선을 대하며 그토록 찾고자 하던 생명수를 여러 번 생각해 보았다. 결국, 바리가 알
게 된 것은 생명수란 일정한 장소에 있는 그 무엇이 아니라 다소 관념적이지만 생명수를 알아볼 마음을
얻었다는 것이었다. 그것이 중요하다. 책을 접한 모든 독자는 바리였으며 생명수를 찾기 위한 모험에는
용기가 필요했고 결국 그 끝에서 얻은 것은 손에 잡히지 않는 것이었다. 이것을 개인으로부터 시작하여
사회 전체, 국가 전체, 세계전체로 확대해보면 그 생명수란 모두의 마음에 고여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희망을 버리면 살아 있어도 죽은 거나 다름없지. 내가 바라는 생명수가 어떤 것인지 모르겠다만, 사람
은 스스로를 구원하기 위해서도 남을 위해 눈물을 흘려야 한다. 어떤 지독한 일을 겪을지라도 타인과
세상에 대한 희망을 버려서는 안된다. (286쪽, 압둘 할아버지.)



 위의 압둘 할아버지의 말이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것이라 느껴졌다. 전통적인 우리의 토착적 설화에서
시대적 배경이 잘 어우러져 한목소리로 대변하듯 들린다. 사실 글을 읽을 때 어느 부분을 중점으로 돋
보기를 들이대고 보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게 마련이므로 대략적인 흐름만 읽어낼 수도 있는데 이 책에
서는 우리의 바리데기라는 설화와 세계적인 흐름이 함께 잡힌다. 특히나 런던에서의 여러 민족의 모습
이나 살아가는 각양각색의 모습에서 말로는 세계는 하나다 하면서 결코 그렇게 될 수 없는 분열이 보인
다. 다른 나라에도 출간될 이 책을 그들은 어떻게 느낄지 자못 궁금하다.

 그러나 약간의 걱정도 된다. 후반부로 갈수록 바리의 영적인 능력이 두드러지는데 그것이 자칫 환상적
인 모습으로만 비칠까 염려스럽다. 더구나 그들이 우리의 설화적 배경이나 샤머니즘적 경향을 오롯하
게 이해할지 약간은 걱정이다. 괜한 노파심일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내가 이 책에서 기억에 남는 것은 역시나 삶을 버리지 않은 바리의 모습이다. 그 용기와 의연함에 비춰
볼 때 나는 어떠한지 되돌아 보았다. 바리가 했던 말을 끝으로 적어본다.


나는 사람이 살아간다는 건 시간을 기다리고 견디는 일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늘 기대보다는 못
미치지만 어쨌든 살아 있는 한 시간은 흐르고 모든 것은 지나간다. (223쪽, 바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