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미오와 줄리엣 - Shakespeare's Complete Works
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이윤기.이다희 옮김 / 달궁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아직 작은 아이일 때 불꽃처럼 타오르는 격정적인 사랑을 꿈꾸고는 했다.
그러나 시간은 많은 것을 변화하게 하며 나름의 인생관이란 것도 생기게 도와준다. 그 결과 지금은
달빛처럼 은은하며 친구처럼 편안한 사랑을 원한다. 내게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은 짧고도 강렬한
설렘과 열정으로 기억된다.

그만큼 세월이 지났어도 올리비아 핫세하면 영화의 줄리엣 이미지로 먼저 떠오르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같은 생각일 것이다. 이후 신세대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나온
영화도 있는데 달궁에서 나온 이 책은 고전적인 올리비아 핫세보다 신세대적인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의 영화와 코드가 잘 맞는 느낌이다. 화려한 삽화만 해도 그렇다. 물론 그 삽화로 상당히 고심하고 읽게
되긴 했지만 시작이야 어떻든 이윤기 부녀의 번역은 매끄러웠다.

얼마 전 프랑스 뮤지컬로도 공연된 바 있는 로미오와 줄리엣을 떠올리며 왜 이렇게 비현실적인 사랑의
열병이 모두에게서 꺼지지 않고 새롭게 부활하는지 궁금하다. 독자에 따라 다르겠지만 역시 그들의 사
랑을 부러워하는 것은 아닐지 자문해본다.
대리만족일지도 모르고 이런 사랑을 어쩌면 동경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 현실보다 극적이니까. 둘이 만났을 때 줄리엣은 14살이 채 되기 전이었으며 로미오는 로
잘린을 짝사랑하고 있었다. 나이가 어리다는 것은 그만큼 계산하지 않는 순수함이 클테고 그래서 신중
함보다 미숙한 감정의 표현이 더 즉흥적일 수도 있다. 그렇다. 그들은 감정이 이끄는데로 행동한다.
그래서 이 어린 연인들의 이야기는 다만 치기 어린 이야기로 남지 않았다.
비극이나 결국 사랑을 이루었으니 말이다. 그렇다면, 나이가 많이 찬 나 같은 이는 과연 앞뒤 재지 않고
이런 행동을 할 수 있을지... 힘들거 같다. 절대적으로 단정할 수 없는 이유는 사랑이란 한 번 빠지면
헤어나기 어려워도 분명히 누군가는 이런 사랑을 할 수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피라모스와 티스베>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떠오르는데 이야기의 비극이 된 사자가 갈기갈기 찢은 피
묻은 숄과 운명의 장난으로 엇갈린 로미오와 줄리엣의 재회는 언제 읽어도 안타깝다. 연인 사이뿐 아니
라 사랑으로 연결된 관계라면 이런 극적인 상황에서 얼마나 감정의 기복이 불안정할까. 사랑이 눈멀게
한다고 했던가. 이럴 때 이성이 더욱 냉정해져서 피묻은 숄로 좌절하기 전에 그녀를 먼저 찾아볼 생각
을 했거나 줄리엣의 차가운 몸을 보자 오열하며 독약을 넘기기보다 잠시만 그녀의 호흡이 되돌아오기
를 기다릴 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그러나 이성과 마음이 언제나 의기투합하지는 않으니 문제다.
감정의 동물인 사람에게 완전무결함을 원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한 요구이다.

셰익스피어가 곳곳에 넌지시 던져놓은 자신들의 운명을 예감한 이들의 말을 들어보자.


너무 이르지 않을까 두렵군. 별들이 미처 계산하지 못한 어떤 운명이, 흥겨운 이 밤의 잔치를 그 쓰디쓴
시작으로 삼아 무시무시한 일들을 벌이지나 않을까, 그리고 그 운명이 내 안에 갇혀 있던 생의 기한을
만료시켜 때 이른 죽음이라는 비열한 벌금을 지불하게 만들지는 않을까 염려되네. 그러나 나의 뱃길의
키를 잡고 계신 분께서 나의 여정을 인도해 주시겠지. ㅡ 73~74쪽. 로미오.



나의 유일한 사랑이 유일한 원수의 집안으로부터 나오다니, 누구인지 모르는 채 너무 일찍 정을 느꼈고
누구인지 알고 보니 때늦은 다음이구나. 증오해야 할 원수를 사랑해야 하다니. 조짐이 불길한 사랑의
탄생이구나. ㅡ 85쪽. 줄리엣.



로미오의 말에 이들의 비극적인 결말이 들어 있고, 줄리엣의 말에는 이들이 비극을 맞을 수밖에 없는
원인이 들어 있다. 그러나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사랑은 이 모든 것을 알아도 기꺼이 감수해가는 거대한
모험이다. 그래서 이들이 어리고 짧은 순간을 사랑하더라도 어리석다는 말보다 아름답다는 말을 듣는
다. 지금 이 순간에도 어디선가 운명의 장난이나 시련을 맞고 있는 연인이 있어도 꿋꿋하게 돌파구를
찾고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 세상의 모든 로미오와 줄리엣을 위하여!


* 이 책은 같은 해에 쓰인 <한여름 밤의 꿈>과 같이 읽어도 좋겠다.
한편의 비극과 희극을 보며 연인들의 속삭임을 엿보는 즐거움을 느껴보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