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없는 소녀
엑토르 말로 지음, 원용옥 옮김 / 궁리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어린 시절 읽었던 책을 커서 다시 꺼내 읽기란 유년의 향수를 찾을 뿐 아니라 생각의
주머니를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때 내가 그렇게도 열광했던 책들
은 공주 이야기보다 모험 이야기였다. 특히나 『집없는 아이』와 이 작품은 힘겨운 생
활을 잘 헤쳐나가는 소년, 소녀의 모험이 들어있는데 지금 읽어도 새삼 느끼는 점이 많다. 이들의 순수
함은 물론이거니와 정직함과 용기가 좋다. 나도 이런 용기있는 아이였는데 지금은 모험의 비중이 자꾸
만 줄어간다. 그보다는 안락함을 더 찾기 때문일 것이다. 모험과 안락함이 적절히 조화되면 최선이겠으
나 모험을 다소 주저하게 된 것이 문제다. 매순간의 선택에서 모험은 뒤로 빼버릴 것이 아니라는 사실
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모험은 삶의 활력이다.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마저 병으로 잃는 뻬린느의 모습을 보며 지금 병원에 계시는 엄마 생각을 했다.
작은 수술을 하나 하셨는데 엄마의 공간이 크게 느껴진다. 이제 성인이라 모든 것을 내가 처리할 수 있
지만 가족의 자리란 것은 그 사람의 부재만으로도 공허함이 크다.
각설하고 이런 상황에서 홀로 된 뻬린느는 길을 나서게 된다. 세상은 기다렸다는 듯 소녀를 괴롭힌다.
날씨와 배고픔, 사람들의 시선 그리고 무엇보다 힘든 것은 혼자라는 외로움이었다. 그러나 언제나 아이
특유의 밝은 마음씨를 간직한 소녀는 모든 역경을 이겨내고 유일한 가족인 할아버지와 극적으로 만난다.
가족의 소중함은 곁에 있을 때는 모른다. 부재했을 때에야 느껴지는데, 그런 상실감을 최소화시키는 방
법은 관심과 대화이다. 소녀도 앞이 보이지 않는 할아버지와 많은 대화의 시간을 갖고 그들은 서로에게
연결되기 시작했다. 가족은 사랑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주인공 뻬린느인데 대충 우리나라 아이라면 초등학교 고학년 정
도가 아닐까 싶은데 여간 똑똑하지 않다는 것이다. 과연 홀로 된 상태에서 그렇게나 꿋꿋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도 간혹 들지만 작가는 그럴 줄 알았다는 듯 곳곳에 아이 특유의 소심함도 함께 나타냈다. 그
래도 그런 의지가 있다는 것은 대단하다. 그렇다, 이 책은 동화의 완역본이다. 그래서 꽤 분량이 많고
내용은 흥미진진하기보다는 물 흐르듯 자연스럽다. 동화적 느낌이 강한 부분은 뻬린느가 홀로 섬에서
자급자족하는 생활모습이다. 19세기의 프랑스 사회에서 느껴지는 산업혁명시대의 배경과는 대조되는
모습인데 섬에서의 생활을 제외하면 다분히 그 시대상이 묻어난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뻬린느는
아이치고 너무도 신중하다. 개인적으로 너무 교과서적인 인물에는 흥미가 떨어진다. 아무튼, 환경이
아이의 능력을 얼마나 끌어낼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아이들의 가능성은 무한하다.

그리고 좋았던 것은 삽화!
어릴 때 보던 삽화와 정말 비슷하다. 색채가 아닌 흑백인 것까지 말이다. 삽화에 대한 말이 없는 것으로
볼 때 옮긴이의 말에 적힌 <앙리 라노스(Henri Lanos)>의 삽화로 추정된다. 몽환적이거나 밝지도 않지
만 낯이 익어서 그런지 내게는 친숙했다.

『집없는 소녀』는 집도, 가족도 없이 엄마의 유언을 따라 친지를 만나러 가는 소녀의 모험이다.
물질적인 집이나 정신적인 가족이 없다는 것은 얼마나 힘든 일일까. 집과 가족 모두가 있어도 뻬린느처
럼 당당하게 모험을 해나갈 의지가 강한 아이가 많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만화로 보았던 『엄마찾
아 삼만리』가 머릿속에 겹쳐진다. 만약 아이가 있다면 모험 동화책을 한아름 선물하시라 전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