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을 한 뒤 그녀는 한번도 자기의 첫사랑을 고백하지 않
았다. 그녀의 남편도 물론 자기의 비밀을 말해 본 적이 없다.
그렇잖아도 삶은 살아갈수록 커다란 환멸에 지나지 않았다.
환멸을 짐짓 감추기 위하여 그들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말
을 했지만, 끝내 하지 않은 말도 있었다.
환멸은 납가루처럼 몸 속에 쌓이고, 하지 못한 말은 가슴
속에서 암세포로 굳어졌다.

환멸은 어쩔 수 없어도, 말은 언제나 하고 싶었다. 누구에
겐가 마음속을 모두 털어 놓고 싶었다. 아무도 기억해 주지
않는다면, 마음놓고 긴 이야기를 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때로는 다른 사람이 비슷한 말을 해 주는 경우도 있었다.
책을 읽다가 그런 구절이 발견되면 반가와서 밑줄을 긋기도
했고, 말보다 더 분명한 음악에 귀를 기울이기도 했다. 그러
나 끝까지 자기의 입은 조개처럼 다물고 있었다.

오랜 세월을 끝없는 환멸 속에서 살다가 끝끝내 자기의 비
밀을 간직한 채 그들은 죽었다. 그들이 침묵한 만큼 역사는
가려지고 진리는 숨겨진 셈이다. 그리하여 오늘도 우리는 그
들의 삶을 되풀이하면서 그 감춰진 깊이를 가늠해 보고, 이
세상은 한번쯤 살아 볼 가치가 있다고 믿는다.

ㅡ 조개의 깊이, 김광규

시인 김광규 -1941년 서울생. 서울대 독문과 및 대학원 졸업.
1975년에 <<문학과 지성>>으로 데뷔. 현재 한양대 독문학교수.
<우리를 적시는 마지막 꿈>, <아니다 그렇지 않다>등의 시집과
시선집, 영역/독역시집과 산문집을 간행. 김수영 문학상, 오늘
의 작가상, 편운 문학상, 녹원 문학상 등을 수상.

저녁으로 새꼬막을 반찬 삼아 먹으면서 이 시가 떠올랐다.
처음 읽었을 때도 그랬지만 여전히 동감이 되는 시.
타인이 만나 이런 공간을 유지하며 살아간다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나이가 들고 결혼이 가까워지면서 돌아본다.
이렇게 무감각하게 살아간다면 미처 버리지 않을까 싶다.
그러나 삶이란 장담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어떤 상황에서든
그 삶을 살아내고자 한다.

- 4339.01.04.물의 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