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하는 일을 찾는다‘라는 말은 곧 미래에도 꾸준하게 할 수 있는 자신의 일을 선택한다는 의미이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인생의 행복감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문제다. 나는 언제까지 내가 좋아하지도 않는 일을 해야 하지?라는 생각이 들면 인생이 우울해지고, 삶은 무기력해지기 때문이다. 마치 기계처럼 텅 빈 영혼이 되어 매일매일 생활한다고 생각해 보자. 눈앞이 깜깜해질 것이다. 그래서 누구나 좋아하는 일을 찾고, 그것을 내 인생의 일로 선택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인 것처럼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런 질문을 한번 던져 보자. "만약 정말 좋아하는 일을 찾았다고 해 보자. 그다음부터는 어떤일이 벌어질까?" (...) 좋아하는 일을 찾고 그것을 선택하게 되면 꽤 많은 것을 희생하게 될 수 있으므로, 설사 지금 좋아하는 일이 없더라 도 불행하게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이다. ‘ 그래, 아직 좋아하 는 일을 못 찾았지만, 그래서 불행한 것은 아니야 , 어쩌면 지금이 내 인생의 진짜 항금기일 수도 있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선택하지 않는 것도 선택이다‘라는 의미이다. - P309
"어떤 방을 선택하든 그 안에서 더 즐겁게 지내려고 노력하면 돼. 방이 넓다면 그 공간을 즐기고, 불편한 점이 있다면 그 상황에 맞춰 대처하면서 살아가면 되는 거 아니겠어? 중요한 것은 선택하지 못하고 머뭇거리는 것이 최악의 상황이라는 점이야. 어른이 된다는 것은 신중하게 선택하고, 선택의 순간이 오면 결단을 내리고 그 선택에 책임을 지는 거야." - P312
선택지는 단 두 개에 불과하지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 이럴 때 답은 매우 간단하다. ‘어떤 것을 선택해도 상관없다‘라는 것이다. 둘 중에 선택하지 못하는 상황은 숫자로 표현하면 51 대 49로 막상막하여서 결론을 못 내리는 상황이다. 만약 우리 앞에 있는 두 가지의 선택지가 90대 10이거나, 70대 30이라면 더 이상 고민할 필요가 없다. 90이나 70을 선택하면 그만이다. 하지만 51대 49라면 어떤 것을 선택하든 최소한 49의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그냥 아무거나 선택하고, 그 선택이 51이든 49이든 그 결과를 내가 노력해서 더 좋은 선택이 되도록 만들면 되는 것이다. 또 처음에는 51이라고 생각했던 것이 막상 선택해 보니 49가 될 수도 있고, 49였지만 나중에 의외의 재미가 있어 51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정도는 사람의 노력과 태도로 충분히 역전할 수 있다. - P312
우리가 선택이라는 행위 앞에서 갈등하고 힘들어하는 건 둘 중에 더 나은 것을 골라야 한다는 강박 때문이다. 그러나 선택이라는 게임의 ‘본질‘은 더 좋은 걸 골라내는 게 아니다.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환경에서 우리가 어떻게 늘 좋은 걸 골라낼 수 있겠는가. 결과적으로 더 나은 것이 선택되더라도 그건 행운의 결과일 뿐이다. 우리가 하는 선택이라는 게임의 ‘본질‘은 최선의 선택을 하는 게아니라, 그 선택의 결과물이 나에게 최선의 결과가 되도록 사후에 노력하는 것이다. 그러니 선택할 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제발 이 선택이 옳은 선택이 되게 해 달라고 기도할 게 아니라, 내가 선택할 때 혹시 빠뜨린 고려 사항은 없는지를 살피는 것뿐이다. 그런 게 없다면 담담하게 선택하고, 그 결과를 담담하게 받아들이는 게 선택이라는 게임을 잘하는 방법이다. - P313
짬뽕이나 짜장면과 비슷하다. 이 둘은 완전히 다른 음식이고, 맛과 느낌도 완전히 다르다. (...) 짬뽕을 먹은 지 6시간이 지난 후에 ‘그래, 아까 짬뽕 먹기를 정말 잘했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까? 거의 대부분 먹은 직후에 과거의 고민은 완벽하게 사라진다. 어쩌면 ‘짬뽕이냐, 짜장면이냐‘를 치열하게 고민했던 자신의 모습이 무색해질 수도 있다. 나 역시 선택의 기로에 설 때가 많다. 그럴 때마다 스스로에게 이렇게 말한다. "이제 진짜 중요한 결정이라면 신께서 나한테 결정하라고 했을 리 없어, 내가 결정해야 하는 문제라면 정말로 사소한 문제일 거야." 그러면 휠씬 마음이 가버워진다. - P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