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도적 눈감기‘에서 벗어나 평생의 YOLO를 위해 YOLA 하라
Y_Young needs pension, 젊었을 때부터 필요한 연금 가입
O_Ongoing wealth management, 지속적인 자산관리
L_Long-term investment, 장기투자
A_Asset allocation, 균형 잡힌 자산배분
젊었을 때부터... 늦은 걸까?
![](https://image.aladin.co.kr/product/18781/37/cover150/8998342502_1.jpg)
생각보다 긴 은퇴 기간, 날로 늘어나는 의료비 부담을 완화할 방법이 존재합니다. 이 책의 저자의 가르침을 따라가는 것이죠. 어떻게 하느냐고요? 간단합니다. 개인연금이나 IRP 계좌 등 ‘행동장치‘를 잘 설계하면 됩니다. 그냥 금융기관에 운용을 맡기는 게 아니라, 적절한 비율로 자산을 배분함으로써 노후 준비에 필요한 충분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거래 비용이 적게 드는 상장지수펀드(ETF) 중심으로 자산을 보유하되, 가격의 변화 방향이 정반대로 움직이는 수익성 높은 자산에 적절하게 배분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홍춘욱 추천사 - P9
"글을 모르는 것은 사는 데에 다소 불편하지만 금융을 모르는것은 생존 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금융맹이 문맹보다 더 무섭다." - 엘런 그린스펀,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 P20
마하트마 간디는 ‘미래는 현재 우리가 무엇을 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미래의 내 자산은 현재 우리가 무엇을 하는가에 달려있다. - P29
소비를 적절히 통제하는게 그 어떤 재테크 공부보다 중요하다. 본인의 소비 습관을 잘 관리하는 게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다. - P71
투자에서의 위험은 ‘손실 가능성‘과 ‘불확실성‘ 두 가지다. 첫 번째 위험은 돈을 잃을 가능성을 말한다. 손실이 난다는 말이다. 수익을 얻고자 하는 게임에서의 위험이란 직관적으로도 돈을 잃는 것이라는 게 이해가 간다. 문제는 투자를 하지 않았는데도 돈을 잃고 있다는 것이다. 투자를 하지 않았는데도 돈을 잃고 있다는게 무슨 소린가? 많은 사람이 눈치 채지 못하고 있는, 가만히 있는데도 돈을 잃고 있는 이유는 인플레이션 때문이다. 인플레이션은 다른 말로 물가상승률이다. 물가가 상승한다는 말은 돈 가치가 하락한다는 뜻이다. - P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