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 <미움받을 용기> 기시미 이치로의 아들러 심리학 입문
기시미 이치로 지음, 박재현 옮김 / 살림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한차례 붐이 일었던 아들러 심리학.

미움받을 용기는 읽을 타이밍을 놓쳐버렸다.

이번달 함께 읽기 책으로 조금 더 접근하기 편한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으로 정했다.

몸이 안좋아서였는지 이 책이 그랬는지 평소보다 집중이 잘 안되긴 했다.

심리학서라고 하면 생각보다 쉽고, 육아서라고 하기엔 뭔가 뜬구름 잡는 것 같은 느낌...

그래도 읽는 동안 밑줄 쫙~ 치며 생각하고 곱씹어보긴 했다.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은 육아와 교육이라 할 수 있다던데 심리학책인지 육아서인지 헷갈릴 정도였지만

사실 읽다보면 자괴감이 더 든다.

이렇게만 하면 정말 될까?

동의하는 부분도 있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할지, 이런 부모가 있을지 궁금하기도.

(표지의 빨간 의자는 반성의자일까? ㅋ)

한해를 마감하는 기분으로 잠시 복잡한 생각들 접어두고 마음을 다잡아보는 용으로는 괜찮았다.

그리고 이제서야 '미움받을 용기'라는 말이 와닿는다.




아들러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고민은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고 분명하게 밝혔다. 우리 마음이 상처를 입고 그 상처로 인해 고민과 고통을 겪게 되는 것이 아니라면서 "트라우마는 없다."라고 잘라 말했다. 프로이트를 비롯한 대부분의 심리학에서는 인과관계로 인간의 심리상태를 설명한다.
트라우마 이론이 대표적이다. 아들러는 그런 인과관계 대신에 목적론을 내세웠다.

- P9

​어떤 사람이 물었다. "인생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아들러는 그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인생의 의미‘라는 것은 없습니다. ‘인생의 의미‘는 당신 스스로가 자기 자신에게 부여하는 것입니다. - P19

모든 사람들로부터 사랑받는 사람이 될 것인가? 아니면, 미움받는 사람이 될 것인가? 만일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나는 단연코 후자를 선택할 것이다. 비록 나를 미워하는 사람이 있어도 자유롭게 살고 싶다. 그래서 당부한다. 모든 사람에게 사랑받는 사람이 되지 말 것을. - P26

사람들이 실패를 두려워하는 이유는 그 가능성을 남겨두고 싶어 하기 때문이다. 성공을 확신할 수 없으면 아예 도전조차 하지 않으려 하는 것이다. 주로 남의 시선을 신경 쓰는 사람들이 가능성을 남겨두고 싶어 한다. 칭찬만 받고 자란 모범생들이 남다른 모험을 못 하는 이유다. - P29

공부하려 하지 않는 아이에게 "너는 하려고만 들면 얼마든지 잘할 수 있다."라고 말하는 것은 금물이다. 그러면 그 아이는 결코 공부하려 하지 않는다. 그런 아이는 ‘하면 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남겨두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두렵기 때문이다.
(...)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 쓰며 어떤 일에 대해 ‘가능성‘이라는 여지를 남겨두려 하지 마라. 평생 그 일을 유보하게 될 것이다. - P30

남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는 중성 행동에 대해서 우리는 너그러워야 한다. 다른 사람이 자신과는 다른 시점이나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 하나만으로 그들을 질책하고 비난해서는 곤란하다. 다른 사람의 행동, 혹은 살아가는 방식이 자신의 마음에 맞지 않아도 너그러워야 한다. ‘다름‘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것은 그 사람의 과제이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의 과제는 우리가 공동의 과제로 삼기 위한 절차를 밟기 전에는 개입해서는 안 된다. 대인관계의 문제 가운데서 상당수는 우리가 상대의 과제에 대해 허가 없이 간섭해 들어가기 때문에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 P45

자립이란 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자신의 힘으로 해결하고, 만약 자신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와 마주하게 되는 경우,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해 해결해나간다는 뜻이다. - P47

​"원래 상대방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라." - P55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잘 모르겠다고 해서 무엇을 하든 소용없다고 생각하는 게 아니라, ‘여하든 지금 여기서 할 수 있는 일을 하자.‘라는 태도를 갖춰야 한다. 바로 그게 낙관주의다. 우리가 일단 지금 여기서 가능한 일을 시도할 때 현실의 사태는 무언가 변화하게 된다.아들러는 아이들에게 진정 필요한 삶의 태도가 이와 같은 낙관주의라고 강조했다. 세계는 온통 장밋빛이라고 가르치거나 세계는 온통 암흑이라고 가르치는 것은 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 우리는 문제가 곧 해결되지 않는다고 해서 심각해질 필요는 없다. 심각하다는 것과 진지하다는 것은 매우 다르다. 인생을 제대로 즐기고 싶다면 진지해야 한다.
(...) 진지하게 게임에 임해야 한다. 하지만 트럼프 게임에 졌다고 해서 죽지는 않는다.

심각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 P66

아들러 심리학은 뚜렷한 목표를 세우고 끊임없이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아이를 지원하라고 가르친다. 그는 아이드을 가르칠 때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말한다.
1. 자립한다.
2. 사회와 조화롭게 살아간다.
​그리고 이와 같은 목표를 이루기 위해 심리적으로 다음 두 가지를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두 가지 심리목표다.
1. 나는 능력이 있다.
2. 사람들은 나의 친구다. - P77

칭찬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당신이 저녁 식사를 준비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가족들이 돌아와 음식을 한입씩 입에 넣고는 "우와, 맛있다. 넌 한다면 할 수 있어! 훌륭해. 참 잘했어."라고 말한다면 어떤 기분이 들 것 같은가.
(...) 이런 게 바로 칭찬이다. 칭찬은 능력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에게, 위에서 내려다보며 ‘좋다‘고 상대를 판단하고 평가하는 말이다. 그래서 아래에 있는 사람은 결코 유쾌할 수가 없다.
- P104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온화하고 단호하게 아이를 대하라고 권한다. 온화하다는 것은 힘으로 누르지 않고 끈기 있게 대화를 나눈다는 걸 의미한다. 단호하다는 것은 아이와 부모의 과제를 분리한 뒤, 아이가 스스로의 힘으로 과제에 맞설 수 있다면 불필요한 개입은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 P132

(...) 대인관계를 수직적이 아니라 수평적으로 생각할 것을 권한다. 칭찬하는 것과는 반대로 용기를 주는 것은 인간관계를 ‘수평관계‘로 바라볼 때 가능하다. 서로의 관계가 수평적이라고 생각할 때 비로소 상대방에게 용기를 줄 수 있다. 그리고 그건 어른과 어른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를 상대할 때도 마찬가지다. 아이가 자신보다 어리기 때문에 열등하거나 아래에 있다고 생각하면 아이에게 용기를 줄 수 없다. - P143

누군가가 부탁하지도 않았는데 간섭한다든가, 바라지 않았는데 도움의 손길을 내미는 것은 자신의 우월감을 충족시키기 위한 행동일 뿐이다. 상대를 대등한 존재로 보는 태도가 아니다. 물론 머릿속으로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지 몰라도 실제로 수평관계에 서는 것은 어렵다. 현대인 대부분이 사람과 관계를 맺을 때 거의 습관적을 자신이 위인지 아래인지를 판단하는 습성이 있다고 생각해도 무방할 정도다. - P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