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연히 마션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한건 알라딘 북플의 이웃 누군가가 쓴 후기를 보고서다.

무슨 내용인지는 정확히 모르지만(이전까지는 영화화한 것도 몰랐다) 그냥 어? 재미있겠는데 싶어서

무작정 대출을 했다.

서가에서 빼는 순간, 이리 두꺼워?  600쪽이나 된다.

이걸 읽을 수 있을까? 싶었는데 의외로 술술 잘 읽힌다.



요새 책관련 포스팅을 보면 내 인생의 첫문장 뭐 이런걸 주제로 한 것도 있는데

이 책의 첫문장은 정말이지 잊을 수가 없다.

직설적이지만 이보다 더 정확한 상황표현은 없을 것 같다.

아무래도 내가 이런걸 좋아하나보다. ㅋㅋ

​​



과학자라서 가능한(?) 일이었을까? 이게 가능한 일이기는 할까?

정말 막막한 상황에서도 담담하게 대처하는 와트니는 사람이 아닌걸까?

과학적 전문용어들이 많이 나와서 온전히 다 이해하기는 힘들었지만 나름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읽어보았다.

꼭 영화를 보면서 내가 상상한 장면이 맞는지 확인해봐야지 하면서.

500일이 넘는 화성에서의 살아남기를 건조하게 표현할 수도 있었지만 글이 꽤 재미있다.

혼자서도 잘 노는(그럴 수 밖에 없지만) 와트니의 순간순간 위트있는 표현들 덕분에 지루하지 않다.

번역이 매끄러워 더 잘 읽혔는지 모르겠다.

이 두꺼운 책을 읽으며 어떤 출판사는 이걸 두권쯤으로 나눠서 출간할 수도 있었을텐데

RHK 괜찮은데? 이런 생각도 했다.


 

보통 책에 대한 평은 지극히 개인적이라서 공감되는 부분이 별로 없다.

그런데 마션은 예외다.  많은 사람들의 말에 공감한다.



 

근데 이 작가, 앤디 위어는 도대체 누구지?

마션이 첫작품이군. 다음 작품도 무척 기대가 된다.



 

영화 마션도 봤다.

책표지와 느낌은 사뭇 다르다. 책표지는 와트니의 위트가 느껴지는 조금 가벼운 분위기였는데

영화포스터는 뭔가 비장함이 느껴진다.

긴 내용을 시간제약이 있는 영상으로 만들다 보니 한계도 있지만 상상한 내용을 현실감있게 보는 맛은 있었다.

책에서처럼 (물환원이나 산소발생시 필요한) 과학적 지식이 많이 나오는 것은 아니라서 보기 편하다.

책에는 없었던 에필로그가 있어서 책장 마지막을 덮을 때 뭔가 아쉬웠던 걸 긁어주는 기분은 든다.

그래도!

역시 책이 더 재미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