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불화 명작강의 - 우리가 꼭 한 번 봐야 할 국보급 베스트 10
강소연 지음 / 불광출판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교 신자가 아니더라도 불교문화는 우리 생활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특히 국내여행지에선 꼭 한번쯤은 만나게 되는데,

<사찰불화 명작강의>는 여행할때 끼고 가고 싶은 책이다.



 

사찰불화에 대한 강의라는 제목때문에 이론서 정도로 생각했지만,

책을 읽고 있노라면, 사찰기행을 떠나는 느낌이 든다.

필체에서 여백이 많이 느껴진다. 그만큼 천천히 들여다 보고 생각할 거리를 준다.

(내겐 좀 ​어려운 불교용어들도 한 몫하긴 했다.)


무위사 아미타삼존도, 관세음보살도, 해인사 영산회상도, 동화사 극락구품도,

용문사 화장찰해도, 쌍계사 노사나불도, 법주사 팔상도,

운흥사 관세음보살도, 갑사 삼신불도, 직지사 삼불회사, 안양암 지장시왕도

총 10개의 사찰에 있는 불화를 중심으로 소개했다.


나름 꽤 많이 돌아다녔다고 생각했는데, 이 중에서 들어본 적은 있지만

제대로 본 적은 하나도 없다.

매화꽃 한창인 쌍계사나, 눈덮인 법주사의 풍경을 보니,

책을 들고 당장 떠나서 직접 장엄함을 느껴보고 싶어진다.


 

아이들 책으로 들어본 적이 있는 <그림 그리는 새>에 대한 이야기가 바로 무위사 <아미타삼존도> 벽화의 전설이었다니

놀랍고 재미있는 사실이다.

아이와 여행가면 꼭 알은체 해야지 싶어 머리속에 꼭꼭 눌러담았다.



사찰불화만 다루고 있지는 않다.

사찰의  '장엄'을 아주 자세히 보여줘서 실제 답사기행을 해도 놓칠 수 있는 부분들도 소개했다.

도판이 자세하고 아주 많아서 책을 금방 읽을 줄 알았는데 그림을 천천히 보다 보니 오히려 여느 책들을 읽는 속도보다 더디긴 했지만,

뭔가 새로운 것을 알게 되는 즐거움이 있었다.



 

해인삼매(海人三昧)의 해인사, 직지인심(直指人心)의 직지사, 진여무위(眞如無爲)의 무위사 등 사찰이름에 담긴 뜻도 흥미로웠고,

대웅전의 대웅(大雄)이 깨달음의 지혜로 중생을 일깨워 구제하기 위해 이 사바세계에 오신 큰 영웅이란 뜻이란 것도 처음 알았다.

본문 외에 기초공부나 전문가 팁을 통해 를 통해 후불벽화(후불탱, 후불탱화)와 괘불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된 점,

특히 삼존불과 삼불이 다르다는 점은 그동안 많이 헷갈렸던 내용이었는데 딱! 정리가 되었다.

영산회상도 속에 항상 등장한다는 가섭과 아난의 이야기, 사찰에 연꽃문양이 많은 이유, 천도재 등의 이야기는 이해하기 어렵지 않았으나,

불화의 고려 양식과 조선 양식의 차이점은 알듯 모를듯하여 좀 더 많은 내공을 쌓은 뒤에야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내겐 이해를 넘어 감동까지는 아직 먼 길 같다.


 

 

 

본래 저자가 <불광> 잡지에 연재했던 <사찰불화기행>을 대중적으로 글을 다듬었다고 한다.

서문에서처럼 다음 편을 기대하게 한다.

종교적 시각이 아니더라도 우리의 것을 조금 더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대중적으로 썼다고는 하나, 내 기준으로는 어려운 불교 전문용어들이 많이 등장해서 가볍지는 않았다.

두고두고 곱씹어 읽어야겠고, 특히, 소개된 사찰들을 답사기행할 때 꼭 들고 가야할 것 같다.


 


p. 5

불교에서는 불교미술이라는 용어보다는 ‘불교장엄‘이라는 표현을 씁니다.
불교에서는 사원이나 법당을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장엄‘이라고 합니다.
보통 우리가 흔히 쓰는 ‘장식‘한다는 말과 유사합니다만, 장엄이라는 용어에는 아름답게 꾸미는 ‘행위‘까지 포함되어 있습니다.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모든 유형과 무형의 덕행을 아우르는 말입니다.
그렇기에 고운 마음으로 향이나 촛불을 하나 피워도 그것을 세상을 장엄한 것이 됩니다.
불교에서는 ‘마음‘을 참 중요시합니다.
우리는 물질의 세계 속에 살고 있지만, 그 이면의 마음이 우리의 행복과 불행을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p. 77

염불(念佛)이란, 소리 내어 부처님의 이름을 반복적으로 염송하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보다 본질적인 뜻은, 염불이라는 한자의 구성대로 ‘지금(今)의 마음(心)에 부처님(佛)을 두는 것‘입니다.
깨어 있는 마음인 각성을 지금 여기에서 유지하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