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밌어서 밤새 읽는 진화론 이야기 재밌어서 밤새 읽는 시리즈
하세가와 에이스케 지음, 김정환 옮김, 정성헌 감수 / 더숲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일본 진화생물학자로 번역서이지만 우리말번역도 매끄럽고,

무엇보다 감수자가 있어서 그 뜻을 제대로 전달한듯 하다.





진화의 시작부터 미래까지 꽤 많은 꼭지들로 이루어졌는데 꼭지마다 길이가 짧고,

특히 편집이 잘 되어 있어서 읽는데 불편함은 없다.

그럼에도 제목처럼 재밌어서 밤새 읽지는 못했다.

200페이지 분량을 만만하게 봤는데 내용은 그렇지 못했다.

모처럼 공부모드.



 


다윈의 [종의 기원]의 자연선택설이 [지질학의 원리]의  "느린 속도로 딘행되는 변화가 오랜 세월 끝에 커다란 변화로 이어진다"는

생각에서 출발했다는 점과종의 기원에는 '종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가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

퇴화를 잔연선택에 따른 적응진화로 보는 시선은 매우 흥미로웠다.


라마르크의 용불용설과 다윈의 자연선택설, 멘델의 유전의 법칙, 프랭클린과 왓슨 & 크릭의 DNA구조,

기무라 모오토의 중립설, 시간할인의 개념까지 아주 오래전 (너무 오래전이라 기억도 안나는...) 배우긴 했던것 같은 내용들이 나오는데

정말이지 다시 공부하는 기분이 들어 힘들기도 하고 새롭기도 했다.

과학, 진화론, 유전학 등이 쉬운 부분은 아니어서 이해하는데 많이 애를 먹었기에 내겐 밤새 읽기엔 무리였으나

현재 공부하고 있는 학생이라면 딱딱한 교과서가 아닌 전체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p. 16
전지전능한 인격신을 숭배하는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세상이 이런 모습인 이유가 전부 유일신이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과학은 기독교를 기반으로 유럽 사회에서 발전한 사상이다.
원래 과학은 세상이 얼마나 정교하게 만들어졌는지를 조사함으로써
신의 위대함을 증명하기 위해 탄생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p. 87
가령 동굴 안이나 심해 등 빛이 없는 곳에 사는 생물 중에는 눈이 퇴화된 개체가 자주 관찰된다.
빛이 있는 곳에 사는 근연종은 모두 눈을 가지고 있으므로 눈은 2차적으로 잃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퇴화라고도 부르지만, 자연 선택에 따른 적응 진화로 해석할 수 있다.
빛이 없는 장소에서는 눈이 있어도 유리하지 않기 때문이다.

p. 161
생물은 일단 절멸하면 부활할 수 없다.
따라서 통상적인 적응도가 높더라도 절멸할 위험이 클 경우에는 절멸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즉 적응도의 개념이 평소와는 달라진다.
`바로 다음 세대가 얼마나 많이 늘어나는가?`라는 기존의 적응도가 아니라 `어떻게 해야 절멸하지 않는가?`라는 기준으로 진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