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건강하려면 운동하지 마라 - 미래의 건강 상식, 림프 케어 건강법
사토 세이지 지음, 김정환 옮김 / 끌리는책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이어트와 건강을 위해서 스피닝과 웨이트 운동을 2년째 하고 있는데

건강한 돼지는 되긴 했지만 다이어트는 영~ 효과가 없다.

문제는 식이요법때문이라고만 생각했었다.

노력이나 근성이 부족해서라고 생각했다.


그러다 만난 [진짜 건강하려면 운동하지 마라] 책은 신선하다.

얼마전 방송한 [지방의 누명]이 그간 갖고 있던 고정관념을 깨는 충격적인 내용처럼

이 책도 그랬다.

건강하게 살려면 운동하지 말라고?

그 답은 바로 림프순환에 있었다.

내용은 그런데, 이 책을 읽기엔 정말이지 무한 상상력이 필요했다.


저자 사토 세이지는 치과전문의로서 턱관절 질환 환자를 치료하다가 '사토식 림프 케어'를 고안했다.

턱관절 디스크를 치료법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근육에 힘을 줘서는 안되며

가볍게 흔들어서 '이완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근육을 '느슨하게' 하려면 힘의 조절이 중요하고,

몸의 축은 '귀'에 있고, 건강의 비밀은 림프의 순환에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우리의 몸속에서는 체액인 혈액과 림프가 끊임없이 순환하고 있는데,

이 흐름이 정상이면 노폐물은 쌓이지 않는다.

그러나 근육이 딱딱해지면 림프가 정체된다고 한다.


운동은 창문을 꼭꼭 닫은 방 안에서 물건을 태우는 불완전 연소와 같다고 한다.

그래서 흡기와 배기에 신경쓰지 않은 운동은 오히려 몸을 망치게 된다는 것이다.

운동을 전혀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운동해도 되는 몸을 먼저 만들라는 뜻이다.


근육은 근섬유라는 가는 섬유처럼 생긴 힘줄의 다발로, 근막이라는 주머니같은 막으로 둘러싸여있는데

스트레칭은 오히려 그 근막을 늘릴 뿐이다.

그래서 스트레칭은 오히려 근육의 기능을 저하시킨다고 한다.

근육을 '느슨하게 하는 것'과 근육을 '푸는 것'은 다르다.

푼다는 것은 마사지나 스트레칭같은 것이고, 느슨하게 하는 것은 힘을 주지 않고서 틀어지지 않은 상태로 되돌리는 일이다.

마사지도 역시 근육을 파괴하고, 그 과정이 반복되면 재생된 근섬유는 오히려 더 딱딱해진다고 한다.

아니, 그럼 유연성을 위한 스트레칭이나 순환을 위한 마사지도 건강에는 방해가 된다고???

헛! 내 온몸이 딱딱한 건 근육이 아니라 노폐물이 뭉친거였어?


읽을수록 정말 이거 맞는 말이야?

그럼에도 50대인 저자는 그 방법으로 오히려 젊음과 건강을 되찾았다고 한다.

본인의 임상실험을 통해 입증한 방법이니 일단 믿고 읽었다.



 


문제는, 저자의 그럴듯한 이론적인 설명에는 동의하게 되지만,

그 방법인 귓불 돌리기, 한손 만세 쳊, 옆으로 누워 다리돌리기 같은 기본 처방이 책을 통해 이해하기엔 너무 어려웠다는 거다.

서문에서 저자가 무한 상상력으로 읽어보라고 한 뜻은 이런 뜻이었나 싶었다.


 



책 뒤표지에 QR코드로 세 가지 기본 체조 동영상이 나온다.

이 동영상을 책을 읽는 중간에 봤다.

한번에 이해가 되더라는...

헌데, 책을 읽지 않은 부분을 먼저 동영상을 보니 이해도가 떨어지긴 한다.

텍스트와 동영상이 상호보완적이긴 하다만,

텍스트를 이해하기엔 정말 상상력이 많이 필요하다.

물론, 내 개인적인 능력의 문제이긴 하겠다만.

이 동영상은 유튜브에서도 검색하면 볼 수 있다.


 



'지방을 먹으면 살이 빠진다'처럼 '사람 몸에는 세로축이 없다'는 말은

저자가 주장한 얘기들  중에서도 가장 놀라웠다.

저자는 등뼈는 통의 일부이지 축이 아니며,

왼쪽 귀와 오른쪽 귀 사이를 연결한 선에 있다.

즉 사람에게 있는 축은 세로축이 아니라 가로축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자신의 양쪽 귀가 막대에 걸쳐져 있고, 그 막대에 손발과 동체가 매달려 있는 듯하게 힘을 빼야 한다고 한다.

흔히 말하는 바른 자세 즉, 가슴을 펴고 어깨와 허리를 뒤로 젖히고 등을 꼿꼿하게 세운 자세는 보기엔 좋으나 추천할 수 없단다.

힘이 들어가면 몸에 부담이 가서 근육이 경직되기 때문에

진짜 '좋은 자세'는 몸의 어디에도 불필요한 힘이 들어가지 않는 상태인 것이다.

그러니까 릴렉스~~~하란 거겠지?






이밖에도 몸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법을 텍스트와 그림으로 설명했다.

특히 짐을 올바르게 드는 방법을 보고는 아하...그래서 내가 승모근이 경직되어 있구나 싶었다.


 200페이지 되는 책 한권은 금방 읽을 수 있으나,

정말 내것으로 만들기에는 시간이 좀 필요할 것 같다.

동영상을 보면서 조금 따라해봤는데 이게 운동이 되나 싶을 정도로 그냥 꼼지락거리는 수준이다.

그 모든걸 한장으로 정리해놓은 브로마이드가 있어 편하긴 하다.

앞으로 생활습관을 바꾸는 건 내 몫이리라.

다만, 림프의 정의를 먼저 내리고 나서 그것이 왜 중요한지를 설명했어야 하지 않나 하는 것과,

중복되는 글과 내용이 많아서 분량을 많이 줄일 수 있었지 않나...싶고,

텍스트와 글을 보다 간략하게 이해할 수 있게 편집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나는 스피닝-사토 세이지가 말한 미친 운동에 속하겠지만-을 계속 할 것이다.

그러나 림프 케어도 같이 해 줘서 운동해도 되는 몸으로 만들어 보려고 한다.

거기에 저자처럼 살도 빠지고 젊음도 찾을 수 있다면 금상첨화겠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