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 여름의 덤더디 ㅣ 시공주니어 문고 2단계 80
이향안 지음, 김동성 그림 / 시공주니어 / 2016년 6월
평점 :
까까머리 아이의 모습이 인상적인 그 여름의 덤더디.
책장을 넘기기 전까지 덤더디가 무엇인지 몰랐다.
덤더디는 주인공 탁이네의 가족같은 소 이름이다.
늙어서 걸음이 느린 소를 보고 탁이가 더듬더듬, 더듬바리! 라고 소리지르는걸
동네 귀어두운 할머니가 덤더디? 이렇게 반문한 데서 그날부터 이름이 붙여졌다.
배경은 1950년 여름, 낙동강 근처의 깊은 산골마을이다.
여유로워 보이는 시골마을 풍경이 정겹다.
배경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6.25가 일어나고 닥친 탁이네의 피난이야기.
그 속에서 덤더디는 가족처럼 피난길에 같이 오른다.
늙어서 짐이 되더라도 가족을 그냥 두고 갈 수는 없기 때문이었다.
전쟁통에 유산해서 힘없는 형수를 실은 수레를 끌어주어 한몫 하기도 했던 덤더디.
그러나 한바탕 전쟁이 휘몰고간 집엔 더이상 쉴곳도 입을것도 먹을것도 없다.
덤더디는 그렇게 마을 사람들을 위해 제 한몸 희생을 당한다.
사람말을 알아듣는다고 믿는 탁이는 전날 밤 덤더디를 때리면서 도망치게 하려고 했으나
덤더니는 제 운명을 받아들인다.
아이를 낳아보고 키워봐서인가, 형수의 유산장면에서 코끝이 찡했다.
덤더디와 탁이의 우정과 이별장면에서는 눈물까지 나오는 걸 참았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김동성님의 그림 덕분에 감동은 더 진하게 다가왔다.
마치, <엄마마중>의 아기가 조금 더 자란 후의 이야기랄까...
이 이야기는 이향안 작가님 아버지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탄생했다고 한다.
그래서 더 실감이 났던 걸까?
나역시 6.25를 겪지 않은 세대라서 직접적으로 와닿지는 않지만,
전혀~ 모르는 내 아이의 세대들은 더할 것 같다.
아프지만 꼭 기억해야 할 그 시대의 이야기를 탁이와 덤더디를 통해서 들여다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시공주니어문고 레벨2로 초등 중학년 이상에게 권장하는 책이지만,
페이지도 적고, 그림도 있고, 이야기도 술술 잘 넘어가서 저학년도 괜찮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