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1.

제목에서부터 사로잡는다.

무척 공감하는 사람들 많을 듯.

성인의 집중력이 평균 3분이라고? 나의 집중력 또한 얼마나 될지 궁금하다.

분명한 건, 전보다 훨씬 떨어진다는 것.

한번 흐트러진 집중력이 회복하는 데 23분이 걸린다면,

한 시간에 집중하는 시간은 얼마나 된다는 건가!


스마트폰 사용자는 20~30% 능력을 잃는다는 연구 결과도 놀랍다.

오랫동안 블로그를 운영해왔던 나지만 SNS 특히 보여주고, 보이는 게 중요한 인스타그램이 가장 문제라고 생각한다.

(나는 인스타그램은 하지 않고, 아이들도 통제하고 있지만 쉽지 않다)

그렇다면 독서도 보이기 위해서라도 좀 하면 안 되겠니?

긴 글 읽기, 소설 읽기가 집중력과 공감 능력에 도움이 된다는 것도 흥미롭다.

역시, 기승전독서구만.


몰입을 위해서는 명확한 목표 설정하고, 자신의 일에 집중하고, 자기의 능력 안의 일을 하라.

되게 근사한 말 같았는데, 이게 말이야 방구야? 당연한 걸 가지고 말이야.


"당신이 자동차 엔진에 샴푸를 넣는다면

엔진이 고장 났을 때 고개를 갸우뚱하지 않을 겁니다."

그러나 서구 전역에서는 "인간의 연료로 쓰던 것과는 매우 동떨어진" 물질을

매일 자기 몸에 밀어 넣고 있다.



먹는 것이 저속노화만 관련 있는 게 아니었다.

지금 읽고 있는 '초가공식품'과도 관련이 있네.






집중하지 못하고 산만해지는 것이 스마트폰 같은 디지털 기기에 대해 자제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개인의 실패가 아니라 사회적 시스템의 문제라고 한다. 죄책감 느낄 필요는 없다니 조금 안심이 된다.

저자의 개인적 경험과 연구 자료를 활용해 객관성을 높이려 했으나,

중언부언과 직접 인용 따옴표가 너무너무*1000000 많아서 집중하기 힘들었다.

이 책을 읽고 비로소 집중하기 시작했다고?

이 부분에 대해서 나는 동의하기 힘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