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ladin.co.kr/product/14026/31/cover150/8984288233_1.jpg)
이런 시국이라서 택한 건 아니었다.
잘 모르는 이야기라 만화로 쉽게 이해해 보자 싶어 대출한 게 꽤 오래전이다. (내년 봄까지 대출정지 ㅠ)
그런데 묘하네 지금과 겹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225/pimg_7427751604544008.jpg)
나와 다르면 간첩 혹은 반국가세력
단어만 달랐지 그 시절 말로 하면 빨갱이란 거잖아?
짐이 곧 국가라고 생각들 하나 보다.
인혁당(인민혁명당)
1964년 1차 인혁당 사건, 한일회담 반대운동 전국 확산
1974년 2차 인혁당 사건, 유신 반대운동 전국 확산
흐지부지 끝날 뻔했던 것이 박정희의 질책 한마디로 사법살인까지 갔다는 게 도무지 납득이 안가지만
양파같이 까도까도 뭐가 또 나오는 부조리들은 지금도 세상 왜 그대로인가.
1974년과 2024년.
50년이 지났는데 별반 다르지 않다.
그래도 연대의식과 행동은 전보다 더 많아지고 달라지지 않았나 싶다.
직접 참여는 안 하고 마음으로 응원하고 있는데 연대 장면 보다 눈물 날뻔했잖아.
계엄이 계속되었다면 제2의 인혁당 사건 같은 조작된 사건들이 또 생겨나지 않을 거라고 장담할 수 없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226/pimg_7427751604544140.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226/pimg_742775160454414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226/pimg_742775160454419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226/pimg_7427751604544196.jpg)
1975년 4월 8일 오전 10시 대법원 사형 판결 만 하루도 채 지나지 않아 4월 9일 사형집행.
법 집행 지휘서 날짜는 4월 8일이었다니 정권 유지의 필요에 따라 답은 이미 정해져 있었던 것이다.
1991년 4월 9일 경북대 안에 세워진 여정남의 추모비는 몇 년 뒤 정보과 형사들이 뽑아갔단다.
1992년 혹은 그 후까지도 유가족을 감찰했고.
70년대의 일이니 정권 바뀌고 세상 바뀌었으니 달라졌겠거니 했다.
내가 아무 생각 없이 룰루랄라 살았던 90년대에도 이런 일이 버젓이 일어나고 있었다니... 나는 참 많은 걸 모르고 살구나...
그런 시절이 있었어?하기엔 지금도 모를 일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226/pimg_742775160454420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4/1226/pimg_7427751604544203.jpg)
표지는 여덟 분이 생전에 좋아하셨던 꽃을 그린 것이라고 한다.
뒤표지 보고 다시 한번 뭉클.
박건웅 작가 멋지다.
2007년 32년 만에 무죄판결 받았다고는 하나 고인과 긴 시간 감시와 통제 속에 살아야 했던 유가족들의 삶은 어떻게 보상이 되겠는가!
이 책은 2018년 박근혜 말기를 겪을 때 쓴 것으로, 침묵하는 방관자로 살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작가는 말하고 있다.
책 속의 이야기들과 책이 쓰인 때와 내가 읽는 때가 묘하게 겹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