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파란여우 > 독서에 관한 18문답
1. 책상에 늘 꽂아두고 있는 책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
: 늘 꽂아 두는 책이야 어디 한 두 권이래야 말이지.
늘 가까이 있는 책 중에선 아예 들쳐 보지 않는 책도 몇 권이나 있는 걸
(읽어야 할 책이 굶주린 상어떼처럼 바라보고 있다...)
2. 어쨌든 서점에서 눈에 뜨이면 사지 않고는 못 배기는 종류의 책들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
: 일단은 비소설류. 요즘엔 잘 안산다.
(1. 인터넷 서점이 저렴하므로. 2.다 사도 읽지를 않아서)
3. 올해 읽은 책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책은? :
이성욱의 쇼쇼쇼, 김두식의 헌법의 풍경
4. 인생에서 가장 먼저 '이 책이 마음에 든다'고 느꼈던 때가 언제인가?
: 국민학교 4학년 무렵에 읽은 안중근 열전, 중1때 읽은 폭풍의 언덕
5.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친 책이 있는가? 있다면, 어떤 책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헤르만 헷세의 전작들. 다혈질인 나에게 사색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알게 해 주었다.
그때의 감동을 잊을 수가 없다.
6. 단 한 권의 책으로 1년을 버텨야 한다면 어떤 책을 고르겠는가?:
잔인한 질문이다. 어떻게 한 권으로 1년을 버티나...
그래도 한권을 고르라면 일단 조선왕조실록을 꼽는다.
1년에 그거 한권이면 조선왕조 역사를 다 외울 수 있지 않으려나...
7. 책이 나오는 족족 다 사들일 만큼 좋아하는 작가가 있는가?
: 고인이 된 이성욱, 알랭 드 보통
8. 언젠가는 꼭 읽고 싶은데 엄두를 못 내고 있는 책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 장정일의 삼국지, 김규항의 예수전과 김규항 사전(언제 출간 되려나)
9. 헌책방 사냥을 즐기는가, 아니면 새 책 특유의 반들반들한 질감과 향기를 즐기는 편인가?
: 헌책,새책 안가리는 편이다. 워낙 잡식성이라서.
10. 시를 읽는가? 시집을 사는가? 어느 시인을 가장 좋아하는가? : 함민복, 최승자, 황지우, 박정만,기형도
11. 책을 읽기 가장 좋은 때와 장소를 시뮬레이션한다면?
햇살 따듯한 창가, 두터운 모포로 무릎을 덮고 따끈한 밀크 티 한 잔.
그러고 보니 이거 낮잠 자는 분위기다.
12. 혼자 책을 읽으면서 조용히 주말 오후를 보낼 수 있는 까페를 한 군데 추천해 보시라.:
시골에 사는지라 가난하지만 조용한 내 집 방안이 최고라고 여기며 살고 있다.
13. 책을 읽을 때 음악을 듣는 편인가? 주로 어떤 종류의 음악을 듣는가?:
책을 읽는 동안 거의 듣지 않는다. 소음에 민감한 편이다.
평소에는 음악을 끼고 살지만 책 읽는 동안에 틀어놓는 음악은 소음이다.
14. 화장실에 책을 가지고 들어가는가? 어떤 책을 갖고 가는가? :
그림이 잔뜩 나오는 잡지책은 항상 대기 중.
15. 혼자 밥을 먹으면서 책을 읽는가? 그런 때 고르는 책은 무엇인가?:
밥을 먹을 때는 밥 먹는 일에 최대한 충실하자는게 나의 삶의 모토다.
밥먹을 때는 절대로 책을 읽지 않는다. 그런 모습을 보는 것도 짜증난다.
16. 지금 내게는 없지만 언젠가 꼭 손에 넣고 싶은 책이 있다면 무엇인가? :
절판이 된 책이라도 돈만 많으면 구할 수 있지 않을까 여긴다.
그러나 굳이 힘들게 절판용 책을 구할 생각은 없다.
지금 출간되는 책들도 얼마나 좋은데.
17. e-book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e-book이 종이책을 밀어낼 것이라고 보는가? :
e-book이 아무리 기세 등등해진다해도 종이로 만든 책을 밀어 낼지는 의문이다.
하지만 요즘은 PDA등에서 최고의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으니
종이로 만든 책이 위협 받고 있는 것은 사실인것 같다.
18. 책을 읽는 데 있어서 원칙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재밌어 보이는 책은 일단 읽고 보자.
장르에 구분없이 무조건 읽자가 나의 책 읽는 원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