꼰대 김철수 - 사람을 찾습니다
정철 지음, 이소정 그림 / 허밍버드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피라이터 겸 작가 정철의 새 책 <꼰대 김철수>를 보자마자 훅 끌렸는데요, 은연중에 어느새 나도 꼰대가 된 건 아닌지 흠칫할 수밖에 없었어요. 나이를 핑계로 스스로 꼰대 옷을 입은 사람을 우리는 꼰대라 부르죠. 그런데 요즘은 나이 어린 꼰대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생각이 늙기 시작하면 누구나 꼰대가 될 수 있는 겁니다. 

 

 

 

나는 꼰대인가?

꼰대 체크리스트에서 3개 이상 해당하면 조심해야 하는군요. 체크리스트를 살펴보면 나에겐 너그럽고 남에겐 엄격한 두 개의 잣대를 가진 경우 꼰대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네요.

 

꼰대는 치료할 수 있다는 정철 작가. 어떻게?

생각과 태도와 행동에서 드러나는 '꼰대'를 치료하려면 나를 들여다봐야 합니다. 나를 관찰하고 공부해야 하는 거죠. <꼰대 김철수>를 읽다 보면 누군가는 자신의 모습과 너무 닮아 충격받기도, 누군가는 꼰대인 다른 이를 생각하면서 읽을 텐데요. 꼰대가 되어가는 스스로와 꼰대를 바라보는 두 유형 모두에게 도움 되는 이야기들이 많습니다.

 

 

 

가장 먼저 제시한 처방은 '아니오'를 말할 줄 아는 겁니다.

부정이 아니라 새로운 인생의 시동이라는 의미에서의 '아니오'입니다. 예를 들어 어른들 말씀은 늘 옳다, 누구나 꿈 하나는 있어야 한다, 아는 것이 힘이다, 아이디어는 새로워야 한다, 남자는 주저앉으면 안 된다, 길이 아니면 가지를 마라, 1분 1초도 낭비하지 마라,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 등 익숙한 명제들에 대해 '아니오'를 외칠 수 있어야 합니다.

 

아는 것이 힘이다는 뭐가 잘못된 걸까요. 아는 것이 힘이 아니라 아는 것을 실천하는 것이 힘이다...라고 할 줄 알았다면 그것도 비껴갑니다. 정철 작가는 아는 것이 힘이 아니라 아는 것을 의심하는 것이 진짜 힘 아닐까라고 묻습니다.

 

결혼은 딱 한 번 해야 한다에서는 두 번을 권하는데요. 리얼뤼?!!  한 번은 사랑하는 사람과 또 한 번은 사랑하는 사람이어서 결혼했는데 결혼하고 나니 예쁜 구석이라고는 찾을 수 없는 사람... 우여곡절 다 겪고도 그래도 이대로 같이 늙어가야지 하는 생각이 드는 그 사람과 다.시. 하라는 겁니다. 설렘으로 한 번, 고마움으로 또 한 번 결혼하는 겁니다.

 

<꼰대 김철수>를 읽는 동안에는 기존에 누구나 다 그러니까 그저 따라 하던 생각과 행동을 새롭게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꼰대들의 생각과 언어를 표현한 꼰대어 사전. 내 안에 꼰대어 사전을 품고 있는 건 아닌지 되돌아봅니다. 오지랖 단어도 있는데 이 책 역시 꼰대가 꼰대 짓 하는 걸 그냥 두지 못하는 오지랖 발동으로 만든 책이라고 ㅎㅎ

 

 

 

하지만 꼰대의 뒷모습을 이야기하는 부분에서는 꼰대 옷을 입게 된 배경을 살펴보기도 합니다. 어쩌면 지금 우리의 꼰대들은 지금의 내가 불안하기에 꼰대짓이 나오는 건 아닐까 하고 말이죠. 무심하다는 이야기 들을까 불안해져 지나치게 간섭하는 건 아닌지, 하루하루 작아지고 초라해지는 내가 불안해서 과장하고 과시하려 하는 건 아닌지, 이제 곧 나 혼자 남는 건 아닌지 불안해서 편 가르기 하는 건 아닌지... 사회가 만들어 낸 꼰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더 이상 꼰대는 중장년층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사회에 적응할수록 우리는 꼰대가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씁쓸하기도 하지만 이런 모습은 싫다고 한 바로 그 모습들이 지금 내 안에 있는 건 아닌지 살펴보게 됩니다. 처음엔 꼰대라는 단어만으로도 무작정 싫은 감정뿐이었다면, 이 책을 덮을 무렵엔 철수 씨 캐릭터가 어느새 정겹게 느껴지듯 무조건 이분법적으로만 생각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꼰대 김철수>는 우리 생각, 태도, 삶을 대하는 자세를 되돌아보게 합니다. 꼰대 그 자체를 꼬집기보다는 꼰대의 의미를 생각해보며 꼰대 같은 생각과 행동이 습관이 되어버리지 않게 정신 차리자는 의미로 읽었어요. 가볍게 한두 시간 만에 읽을 수 있는 분량이지만, 정철 작가 특유의 간결함에 담긴 속 깊은 의미를 끄집어 낼 수 있는 책이라 여운이 오래가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