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숲속 도서관의 사서입니다 - 치유의 도서관 ‘루차 리브로’ 사서가 건네는 돌봄과 회복의 이야기
아오키 미아코 지음, 이지수 옮김 / 어크로스 / 2025년 3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도서관이라는 단어를 떠올리면 조용한 열람실, 정갈하게 정리된 책장, 정숙을 요구하는 분위기가 연상됩니다. 그런데 이곳, 일본의 '루차 리브로'는 독특한 공간입니다. 이곳은 단순한 서가가 아니라, 치유와 회복이 이루어지는 삶의 거점입니다.
<나는 숲속 도서관의 사서입니다>는 루차 리브로를 운영하는 아오키 미아코의 자전적 기록이자, 책을 매개로 한 공동체의 따뜻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일본 나라현의 작은 산촌, 인구 1,700명의 히가시요시노무라. 이곳에 70년 된 고택에 자리 잡은 인문계 사설 도서관 루차 리브로는 일반적인 도서관과는 다릅니다. 이용자들이 대출한 책에 포스트잇을 붙이고 자유롭게 메모를 남기는 것이 허용되며, 개인 장서를 공유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도서관을 운영하는 아오키 미아코가 이런 특별한 도서관을 열게 된 배경에는 아픈 과거가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사서로 일하던 그는 정신질환을 앓게 됩니다. 자살 시도 후 3개월 넘게 병원 생활을 하게 되었지만, 그를 붙잡은 건 '나만의 도서관을 열겠다'는 꿈이었습니다.
자신을 '불완전한 사서'라고 소개합니다. 보르헤스의 단편 <바벨의 도서관>에서 차용한 표현입니다. 보르헤스의 작품에서는 도서관(책)의 완전성과 무한성에 대비되는 사서(인간)의 불완전함과 유한성을 의미했지만, 아오키 미아코는 문자 그대로 자신의 불완전함을 드러내는 데 사용합니다.
약을 복용하며 개관 시간이 임박해서야 겨우 눈을 뜰 때도 있고, 도서관을 혼자서 관리하기 어려울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SNS에 도움을 요청하면 기꺼이 손을 내밀어주는 이들이 있습니다.
불완전한 사서라는 표현은 단순히 개인적 한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끝이 아닙니다. 우리 모두가 서로에게 의존하는 존재라는 진리를 담고 있습니다. 누구나 도움이 필요한 존재이며, 동시에 누구나 도움을 줄 수 있는 존재라는 상호의존적 관계를 보여줍니다.
아오키 미아코에게 책은 단순한 정보의 집합체가 아닌 다른 세계로 통하는 창문입니다. 이 창문을 통해 어린 시절부터 세상을 바라보며 살아왔고, 이제는 그 창문을 다른 이들과 함께 바라보고자 합니다.
도서관의 서가는 근사한 창문을 잔뜩 낸 벽이 되고, 사서는 누군가를 그 창가로 초대하는 사람이 됩니다. 루차 리브로의 본질은 이 '초대'에 있습니다. 혼자 감당할 수 없는 문제를 함께 고민해달라는 진심 어린 초대입니다. 이런 간절함에 응답하듯 산골 마을의 도서관으로 사람들이 찾아옵니다.
이 본질은 함께 읽는다는 행위로 연결됩니다. 루차 리브로의 책엔 밑줄이 그어져 있고 포스트잇이 붙어 있습니다. 대출해 간 이용자들도 자신의 생각을 포스트잇에 적어 붙이곤 합니다. 저자는 이를 '나눔'이라고 표현합니다. 책을 읽는 흔적을 공유하는 것은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는 행위이고, 이를 통해 서로의 취약함을 나누고 공감하는 과정이 됩니다.
독서의 치유적 효과를 다양한 방식으로 체험하고 공유하기도 합니다. '책 이야기 나누는 저녁' 모임을 통해 참가자들은 각자 읽은 책을 소개하고 그 속에서 발견한 자신의 이야기를 나눕니다. 독서 토론을 넘어 서로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공감하는 치유의 시간이 됩니다.

특히 타인이 열어주는 새로운 창에 대한 묘사가 와닿습니다. "누군가가 건네준 책을 펼치면 등 뒤에서 창문이 열리는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제가 눈길을 주지 않았던 장소에서 먼지를 뒤집어쓰고 있던 녹슨 창문이 반강제적으로 삐걱삐걱 열리며 바람이 들어오고 방 안이 밝아지는 기분입니다."라고 말이죠.
혼자서는 결코 발견할 수 없었던 책과 사상을 다른 이들의 추천을 통해 만나게 되고, 그것이 마치 등 뒤에서 창문이 열리는 듯한 신선한 충격을 준다고 이야기합니다. 루차 리브로는 이렇게 서로가 서로에게 새로운 창문을 열어주는 공간이 되었습니다.
<나는 숲속 도서관의 사서입니다>는 우리가 잃어가고 있는 많은 가치들을 되새기게 합니다. 서비스가 아닌 나눔의 정신, 경쟁이 아닌 공존의 가치, 완벽함이 아닌 불완전함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합니다.
우리 모두는 각자의 방식으로 불완전하고 취약한 존재이며, 그 취약함을 인정하고 나눌 때 진정한 치유와 회복이 시작된다는 메시지를 만나게 됩니다.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그것을 부끄러움 없이 나눌 수 있을 때 진정한 연결과 성장을 경험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