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문장이라도 제대로 쓰는 법 - 비문을 쓰고도 모르는 당신을 위한 최소한의 글쓰기 법칙
이연정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보 검색 시대에 오히려 정보를 풀어내는 능력이 낮아지다 보니 문해력이 심각하다는 이야기가 심심찮게 등장합니다. 아이들을 대면하는 선생님들은 더 실감할 듯합니다. 비문투성이 SNS 대화에 익숙해진 탓에 정돈된 문장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막막해하는 MZ 세대를 위한 글쓰기 책이 그 어느 때보다 반갑게 다가옵니다.


200만 조회 수를 기록하며 화제가 된 SBS <스브스뉴스> 인터뷰 영상의 주인공 이연정 저자의 책 <한 문장이라도 제대로 쓰는 법>. 문법에 맞는 글, 오류 없는 글을 쓰고 싶다면 꼭 읽어야 합니다.


내 문장이 비문인 줄 모른 채 습관처럼 쓰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연정 교수는 문법에 맞는 글을 쓰려면 주어와 서술어는 반드시 일치시키고, 말의 규칙에 맞는 문장을 쓰고, 높임말을 제대로 구사하고, 적절한 조사를 선택하는 등 8가지 기본 원칙을 잘 지켜야 한다고 합니다. 더불어 누락된 문장성분은 없는지, 반복되는 유사 표현은 없는지, 어휘의 원래 의미를 점검하는 등 6가지 기본 원칙으로 문장의 격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말투가 글에 반영되기에 의심하지 않고 습관처럼 쓴다면 비문인 줄도 모르고 계속 쓰게 됩니다. 글쓴이의 의도대로 문장을 잘 전달한다는 게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깨닫게 하는 상황을 마주할 때면 특히 그렇습니다. 카카오톡을 주고받을 때 재차 물어보고 확인해야만 이해하게 되는 상황이 자주 일어나면 지칩니다.


자신이 쓴 글을 어떻게 점검해야 실수를 피할 수 있는지 대학 강의 10년 차 이연정 교수가 학생들이 쓴 다양한 문장으로 설명합니다. 나름 신경 쓴다고 자부하고 있던 저도 뜨끔하는 순간이 있었습니다. 때로는 '이 문장에서 도대체 뭐가 틀린 거지?' 하며 갸우뚱할 때도 있었습니다. 수정한 올바른 문장을 확인하니 아하! 깨닫게 되더라고요.


"영어와 달리 한국어에서 긴 문장은 미덕이 아니다."라는 말은 블로그 글쓰기할 때도 유용한 팁입니다. 잘 다스릴 자신이 없다면 차라리 문장을 쪼개라는 조언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무조건 짧은 문장이 모두 가독성 좋은 글은 아니지만 문장 쪼개기는 훌륭한 연습이 됩니다.


유명한 비문 예시 중 하나가 "아메리카노 한 잔 나오셨습니다."이죠. 이 정도쯤은 알고 있다며 자신만만해 하다가 "이쪽에서 기다리실게요."도 틀린 문장이라고 해서 흠칫했습니다. "이쪽에서 기다리세요.(기다리십시오.)"로 충분하다고 합니다.


온전한 의미로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글쓰기 기본 원칙들을 알려주는 <한 문장이라도 제대로 쓰는 법>. 내가 쓴 글을 맥락에 맞춰 전체적으로 수정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글을 쓴다는 건 메시지를 잘 전달하는 것과 같습니다. 문장 하나하나가 명료해야 합니다. 익숙한 말습관이 글쓰기에도 나타나는 사례를 하나씩 배우면서 자가 점검하는 시간이 됩니다.





저도 한때 '~것 같은'이라는 말습관을 글에도 그대로 사용했는데요. 그 사실을 깨닫고 난 이후부터는 말할 때든 글을 쓸 때든 두루뭉술한 표현은 쓰지 않으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해왔습니다. 우리 아이에게도 과제 발표할 때나 면접 볼 때 자기주장에 자신이 없어 보이는 '~것 같은'을 사용하지 않도록 교육했더니 스피치 할 때 훨씬 느낌이 좋더라고요.


SNS에서 특히 오그라들 때가 있습니다. 아픈 사람에게 "빨리 나으세요."라는 문장을 써야 할 때 "낳으세요"라고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무척 흔합니다. 굳이 알려줘야 할지 못 본 척 넘기는 게 미덕일지... 난감합니다. 틀리기 쉬운 맞춤법을 다룬 카드뉴스가 인터넷에서 많이 돌아다니고 있지요. 이미지 한 장 툭 투척하고 싶어 손이 근질거립니다.



저도 돌아서면 까무룩 잊어버리는 맞춤법이 꽤 많습니다. 블로그에서는 맞춤법 검사를 한 번 해볼 수 있지만 SNS에서 글 쓸 때면 틀리는 맞춤법, 띄어쓰기가 많거든요. 그래서 이런 책을 읽는 게 도움 됩니다. 무심코 쓰는 습관에 제동을 탁 걸어주는 효과가 큽니다.


학교, 회사에서 적용 가능한 상황별 글쓰기 노하우도 짚어줍니다. 디지털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MZ 세대인데도 메일 작성은 서투른 이들에게 유용한 메일 작성법, 슬기로운 직장 생활을 위한 초석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학 생활에서의 리포트 작성법, 논리적으로 잘 풀어내 A+ 받는 시험 답안 작성법 등이 소개됩니다.


더 늦기 전에 잘못된 습관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글쓰기 책 <한 문장이라도 제대로 쓰는 법>. 다듬을수록 완성되는 좋은 문장을 위해 꼭 알아야 할 이야기입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