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의 방 - 법의인류학자가 마주한 죽음 너머의 진실
리옌첸 지음, 정세경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외 현장에서 유골과 시체를 마주하고 신원을 찾는 일에 앞장서는 리옌첸 법의인류학자가 뼈에 새겨진 기억을 읽고 그들의 이야기를 전하는 <뼈의 방>. 


관계맺음엔 약하지만 전문분야에서의 능력은 뛰어났던 브레넌 박사가 등장하는 미드 <본즈>의 최애청자였던 저는 <뼈의 방>이 무척 흥미진진하게 다가왔습니다. <본즈>를 보면서 뼈에 대한 이야기에 푹 빠져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실제로 법의인류학자들에겐 특별한 보물 공간인 '뼈의 방'이 있다고 합니다. 기증받은 유골을 모아둔 곳입니다. 신원을 알 수 없거나 가족이 인수하지 않으려 하는 시신 혹은 단체에서 연구 용도로 기증한 시체의 유골들입니다.


미국 국경을 넘다가 사막에서 실종된 이들을 찾아나서는 이들의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불법으로 국경을 넘던 사람들 대부분의 죽음 원인이 급격한 탈수라고 합니다. 미국의 비밀 묘지라 불리는 곳에서 2017년에만 412명이 죽음을 맞이했습니다. 이곳에서 찾은 No. 170422145 유골. 유류품과 뼈의 DNA 검사를 통해 유골의 신원을 밝혀냅니다. 실종된 고메즈는 번호로 불리던 것에서 이름을 되찾아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법의인류학은 뼈를 분석하여 유골의 정확한 신원을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망 원인을 찾는 법의학자와는 그 역할이 조금 다릅니다. 의류를 전문으로 하는 법의학의류분석가도 있습니다. 상황의 배후 사건을 알아내는 법의고고학자도 있습니다. 수많은 이들의 협업으로 죽은 이의 신원, 다잉 메시지를 읽어냅니다.


인류학이란 단어가 붙은 것처럼 법의인류학은 생활방식, 음식 환경 모두 연구한다고 합니다. 전쟁 범죄, 대량 사망 사건의 조사에 참여하며 번호를 붙였던 뼈에게 이름을 되찾아줍니다. 집단 무덤을 발견할 때의 끔찍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전쟁, 전란이 있었던 곳엔 어김없이 처참한 유골 상태의 집단 무덤이 발견된다고 해요. 


죽은 자를 위해 목소리를 내는 것이 법의인류학자의 마지막 목표입니다. 실종자의 유족들도 시체의 신원이 밝혀지고나면 비로소 회복을 시작할 수 있다고 합니다. 죽은 자들이 어떤 일을 겪었는지 밝히고, 다시 힘을 낼 수 있도록 기운을 북돋는 역할을 하는 법의인류학자는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사람입니다.


요즘은 최신 기술을 이용해 기후변화, 환경변화, 음식문화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머리카락에서 성별, 체형, 식습관, 운동습관을 알아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만큼 뼈는 그 사람이 한때나마 이 세상에 살았다는 증거라는 걸 보여줍니다. 뼈는 살아 있을 때와 세상을 떠난 뒤에 겪은 일을 모두 담고 있다는 걸 알려줍니다.


리옌첸 법의인류학자는 2014년 세월호 참사도 사례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5명의 실종자가 있는 세월호 참사. 인양 과정에서 발생한 추문도 정확히 알고 있고, 유골 추가 발견을 은폐하다 2017년에 적발된 사건 때문에 특히 주목하고 있었습니다.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외모를 바꾼 문화가 고스란히 담긴 뼈에 대한 이야기도 들려줍니다. 중국 전족, 19세기 코르셋, 태국 카렌족 사례에서는 유골을 통해 여성들에게 강요된 사회적 표준과 당대의 사회 및 정치 구조를 밝혀내기도 합니다.


산업혁명 초기 영국 성냥 제조 공장의 여성 노동자들 사건도 있습니다. 2015년에 인 중독이라는 것을 밝혀냈다고 합니다. 청소년 유골에서 아래턱 괴사 흔적을 발견했고 인의 독성을 증명한 첫 사례라고 합니다. 유골 덕분에 그들의 이야기를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도시화 과정에서 사람들이 치른 대가, 사회의 성불평등을 이해할 수 있는 뼈에 새겨진 흔적들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이었던 미국의 잔인성을 보여준 사건도 있습니다. 미국 마리아나 제도에서 전사한 일본군 유해 중 절반 이상이 머리가 없었다고 합니다. 전리품으로 두개골만 남겨 기념품화한 사례처럼 유골의 존엄성을 해친 사례가 역사상 부지기수입니다.


'인체의 신비전'을 관람한 분 계신가요. 비위 약한 사람은 절대 관람못하는 그 전시를 저는 2009년에 봤었는데 정말 신기하면서도 충격적이었거든요. 공포 영화 <아나토미>를 본 탓에 끔찍한 생체실험에 대한 상상력이 가미되어 혼이 이탈되는 듯한 기분이었어요. <뼈의 방>에서는 '인체의 신비전' 주최측이 서류 공개는 하지 않으면서 자발적 기증이라고 주장하는 부분에 의문을 표합니다. 동의 없이 시신이 양도된 것이라면 윤리적 문제에 부딪힙니다. 유골도 한때 '사람'이었음을 끊임없이 일깨우는 <뼈의 방>. 전시 관람 과정이 죽은 이와 함께하는 시간이라는 사실을, 그 속에서 그들의 이야기를 배우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는 걸 가르쳐줍니다.


몸 안의 인생 기록이라 불리는 뼈. 이 책은 고인의 생전 경험을 바탕으로 뼈에 담긴 문화와 역사, 생명을 통해 뼈가 들려주는 삶과 죽음을 이야기합니다. 의학, 법의학, 역사, 사회학, 풍속문화, 철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가 연계되어 생명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여야할지 가르쳐주는 뼈의 목소리를 들려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